소설 징비록 - 전시 재상 유성룡과 임진왜란 7년의 기록
이재운 지음 / 책이있는마을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재운 정통 역사소설, 소설 징비록.

징비록은 아이들 책을 통해서 알게 된 고전입니다.

전문은 읽어보진 못했고 유성룡이라는 재상이 임진왜란 기록을 통해

후세에는 이런일이 없기를 당부하고자 기록했다는 취지만 알고 있었죠.


다른 저자의 소설 명량을 보고도 워낙 감동이 깊었던 터라

정통 역사소설 징비록에 대해서는 받아들고서부터 기대가 컸습니다.





임진왜란을 겪은 임금 선조.

임진왜란에 대해서는 일본 통신사의 교류로 이미 준비를 해야 한다는 측과

태평성대에 그 무슨 말이더냐 하는 안주하자는 파가 있었지요.

선조는 움직이지 않는 편을 택합니다.


전쟁 준비를 하는 곳은 없고

다들 망궐례를 하면서 엎드린 다음,

저희들끼리 뇌물을 주고받기 바쁘다.






"군사를 훈련시키다니, 그렇게 할 일이 없나?"


군대정비를 하는 것이야 전시상황이 아니더라도 당연한 일이었건만 

선조는 편안함을 선호했던 것이죠.

군사훈련, 정비 등의 일은 사실 백성들에게는 번거로울 수 있으니

그로인해 지지도가 내려가는 것은 싫으니깐요.



그렇게 안일했던 선조 치하 조선은

풍신길이의 명나라를 치고자 한다는 궤변의 주장으로

공격을 받게 됩니다.

일찌기 풍신길이가 조선에 총을 보내온 적이 있으나

조선은 그 물건을 넘겨버리는 우를 범했지요.

일본은 그 신식 무기로 조선군을 당혹케 하며

힘을 싣고 점령해 갔으니 말이죠.




한편, 여태의 원균에 대한 평가는

장군 이순신에 대한 빛을 위해 항상 절대악인것으로 보이곤 했더랍니다.

그런데 소설 징비록에서는 원균이 어찌하여 그러한 인물로 비춰지게 된 것인지를 보여주지요.

원균은 수군을 맡은 장수였습니다.

이순신은 육군 출신의 장수였고,

원균이 전세에 밀려 지원요청을 하고서야 이순신이 처음으로 수군에 힘을 합해보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 속에서는 일단 원균은 서인출신이라 하여 이순신에 억한 감정이 있어 보이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에서의 평가는

원균은 어리석고 비겁한 인물인 것처럼 강조되어잇습니다.

그런데 소설 속에서는 그에 대해 그렇게만 보여주고 있지는 않다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지원을 받고서는 무관으로서의 소임을 다하고자 우직하게 승리를 가져오지요.






일찌기 선조는 옥체를 보존하고자 몽진을 감행합니다.

그러면서 차남인 광해군에게 왕세자로서의 지위를 부여하지요.

왕세자 광해군은 내 몸 살겠다 도망친 선조와는 달리

일본군이 점령한 곳까지 행차하여 조선군 장수와 의병을 격려하고

표창하고 벼슬을 내리며 사기진작을 꽤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천대받던 노비, 천민, 평민들까지도 악착같이 달려들지요.



물론 책 속에서 일본군이 조선인을 말하기를

일본군이 지역을 점령하게 되면, 

이기는 싸움이 아니더라도 온 백성이 다 튀어나와서

죽기살기로 달려든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는 은근 자랑스러운 생각도 들었습니다.

내가 잘 살겠다 하는 정신이 아니라

누가 돌봐주지 않는다 하더라도

내 나라가 무너지면 내가 없다는 정신으로 단결이 되니 말이죠.






광해군이 독려하며 사기진작과 민심을 수습해가는데

그러면서 승려들도 군이 되어 나라를 위해 뭉치게 됩니다.

그러한 그들의 단결에 광해군이 벼슬을 내린다 하니,

선조 곁을 지키는 고고한 대신들은 또한 이것이 불만이라며

격이 안맞다는 타령입니다.


무기력한 선조도,

광해군과 백성들의 용맹에 대한

대신들의 비겁한 태도에는 소리를 지르게 됩니다.

"그렇게들 잘났으면 당신들이 창 들고, 칼 들고

나가 싸워요!"



그렇게 왕은 광해군의 결정에 힘을 싣게 도와주는

최소한의 역할은 하고 있었습니다.






이순신이 서인이 당권을 쥐었던 조정에서는 미움을 받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이순신은 유성룡,권율 등의 동인들이 단단히 지지해주고 있었지요.

원균은 서인 계열이기는 하지만 끈끈한 후견인이 있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원균의 입장에서는 같은 공을 세웠다는 생각이었기에

평가가 그닥 마음에 들지 않았지요.


그러던 차에, 

수군 전략에 관한 전략이 도지사 권율을 비롯하여

선조의 명령으로도 강력히 하사되기를

승산이 없거늘.. 하는 생각이 들고나니

원균으로서는 등떠밀린 전략을 행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어명을 어기느냐 나라를 위험으로 몰아가느냐의 판단에서

이순신은 어명을 어기는 쪽을 택했으나

원균은 위험한 어명을 따르는 쪽을 택하게 되지요.

그리고는 또 다시 조선은 위험에 빠지게 됩니다.






우악스러운 풍신수길은

2차 임진왜란 중 갑자기 죽게 되지요.

풍신수길의 죽음에 대해 소문이 빠져나가지 않기를 바라지만

이미 일본 내에서는 그와 경쟁관계인 덕천가강이 이미 노리고 있었던 터.


풍신수길의 임종 후,

임진왜란은 조용히 마무리되지만

일본은 다시 전장이 되었습니다.





"임진왜란 7년간 왜구와 싸웠다지만,

정작 내가 재상으로서 싸운 상대는 적괴인 풍신수길이나 가등청정, 소서행장이 아니라

고비마다 발목 잡는 이 나라 대신들이고,

위기 때마다 무기력해지는 국왕 전하였지"


전란 동안 남인이나 서인들이 겪은 고통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지요..."



왜적에 의해 임진왜란이 발발하기는 했으나

결국 이렇게 전쟁이 일어나는 것은 이미 막을 수도 있었을 기회가 있었던 것도 같습니다.

아마 조금 더 일찍 마무리 되었을 수도 있었을지도 모르고요.

역사로 넘겨지니 지금에야 진정하고 이야기하지만

당시 백성들은 어떤 고생이었을지요.





유성룡의 마무리 대화들을 보면서,

징비록에 대해 뜻을 다시 세겨보는데


그러면서 마지막.

승지 이효원은 유성룡으로부터 <징비록> 필사본 한 질을 받아 이마께로 올렸다가 내렸다.

.....

임란 중 국왕과 세자 광해군을 호종하던 승지 이효원은 광해군 치하에서

대사간이 되지만 유성룡의 앙숙이던 대북 정인홍과 다투다 파직되고...

나는 그의 후손이다.




작가 이재운씨는 이효원의 후손이기에

그래서 이 책을 더 정성들여 완성하지 않았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임진왜란 한 토막만이 아니라

그 임진왜란과 관련하여 조선 조정, 일본의 사정, 명나라의 행동 등

포함하는 영역이 더욱 넓다보니 보는 재미가 더했던 스케일 큰 정통역사 소설 징비록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