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으로 지은 집 - 가계 부채는 왜 위험한가
아티프 미안 & 아미르 수피 지음, 박기영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 십년간 글로벌 경제가 참 많이도 출렁였었죠. 

<빚으로 지은 집>은 그러한 경제의 흐름 중 집에 대한 가계 부채의 이야기를 하는 책이랍니다.

두 저자는 거시경제와 금융경제의 일각연이 있는 전문가들입니다.


책 속 이야기를 하기에 앞서, 

경제학 박사들의 글이라 상당히 체계적이면서

또한 동시에 군더더기가 없고 거기에 글이 현학적이라고만 볼 수 없는 논리의 흐름으로

거시경제와 금융경제, 그리고 정부와 가계, 금융기관의 입장과 행동, 영향등을 알 수 있게 하는

전공책 같지만 교양책이기도하다 것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데이터는 미국 가계 소득과 부채의 비율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미국도 무리한 부채를 통한 주택 소유를 하던 시기가 있었지요.

그리고 그 가계의 부채는 주택거품이 꺼지면서 은행으로 부담을 가중시켰고

또한 은행 뿐 아니라 또 다시 가계로 전파되고 산업으로 전파되어

거시 경제적인 입장에서도 불황을 맞게 됩니다.


이러한 데이터와 현상의 관계는

이러한 경제 이야기는 우리나라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일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도 자가소유에 관한 안정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보니

집에 대한 욕구가 강하고 수요로 가격상승이 동반되게 되죠.

그렇다보니 무리해서 집을 소유하려고 하고요.




레버드 로스 levered losses라는 단어는  <빚을 지다 levered>라는 의미와 

은 힘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지렛대 lever)라는 의미가 중의적으로 담겨져있다.

빚 때문에 발생했으며 그로 인해 피해가 증폭된 손실을 의미한다.


이 책에서 가장 핵심되는 몇 가지의 개념 중 하나가

바로 레버드 로스 이론이랍니다.

경제학 공부를 하다보면 승수효과를 배우게 되는데, 

승수효과가 긍정적으로가 아니라 부적적인 효과로 증폭되는 가장 큰 예가 바로 빚을 통한 가계 부담이겠습니다.

데이터 분석으로 보면 부채비율이 높은 가계는 실소득이 그리 크지 않은 곳이 심했고,

소득이 높은 지역에서는 오히려 부채비율이 낮았다고 합니다.

그렇다보니 부채비율이 높은 소득이 낮은 지역에서는 경제가 타격을 받으면

일자리를 잃게 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부채에 대한 부담이 더해지게 되는 것이죠.




원금탕감은 주택 시장 붕괴에 따른 손실을 고르게 부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채무자가 모든 손실을 감당하는 것이 아니라 채무자와 채권자 모두 손실을 고르게 나누어 져야만 한다. 

채권자에 비해 채무자가 소득 수준이 낮고 레버리지가 높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

원금탕감에 앞서서 주식 투자에 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우리가 주식 투자를 할 때, 직접이든 간접이든 금융상품의 성격이 시세하락에 관한 위험을 투자자 스스로 판단하게 되어 있지요.

그런데 은행에서 담보대출을 이야기 할 때, 은행이라는 채권자는 우선 1순위 채권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부동산 가격하락에 대해서도 고려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부동산 시세가 하락하면 부채비율에 따라 빌린돈의 일부를

상환하기를 요구하지요. 

생각해본 적이 없는데 이 책을 통해 생각해보기를

우리가 금융기관에 투자를 할 때는 위험은 투자자 몫이건만

은행은 반대로 시장에 돈을 빌려줄 때, 그 위험은 하나도 가져가지 않는구나 생각해보게 됩니다.

집을 무리하게 구입하는 집주인에 대해서 혜택을 주는 것은 도덕적 해이를 일으키지 않느냐는 주장도 잊지 않고 이야기해주지만

그럼에도 채권자와 채무자 관계를 볼 때는 은행이 모든 권한을 우위에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위함 분담의 원칙 -

이 경제학자들의 주장은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위험 분담의 원칙'이다 할 수 있습니다.

가계의 주택담보 부채에 대한 이야기 외에도 또 다른 일례가 학자금 대출 문제입니다.

미국 경제학자의 주장이건만 이 책이 우리나라에서도 생각해볼 문제라는 것은

청년 취업문제로 똑같은 상황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죠.

경제를 활성화시켜 탄탄한 구조에서는 부채의 문제는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펀더멘털이 흔들리든 아니면 우발적인 상황에 의해서든 경제가 흔들려서

가계가 흔들리게 되면 부채로 인한 레버드 로스가 일어나기 마련일 것입니다.

아무쪼록 총체적인 문제로 진행되지않도록 채권자의 관용도 필요할 것이라 생각해보게 됩니다.





우리는 모두 한배를 타고 있다!

가계 부채가 경기 침체의 근본 원인임을 이론적으로 규명한 역작.

이 책은 한 줄 한 줄 버릴 것이 없이 흐름으로 이해가 가능한 역작이다 생각이 듭니다.

빠른 템포로 읽어갈 것이 아니라 차분히 읽으면서 

그 내용도 논리의 흐름도 그리고 지난 경제의 추세들도 생각해보게 하는 지적인 책이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