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장자를 만났다 - 내 인생의 전환점
강상구 지음 / 흐름출판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때 장자를 만났다 - 틀린 인생은 없다!


그때 장자를 만났다.
고전 <장자>는 저로서는 참 의미있는 책이랍니다.

학원을 그리 좋아하지 않았던 저로서는 몇년간 믿고 다니던 논술학원의 선생님을 

재수 하던 해에는 뵐 수 없어서, 논술준비는 혼자 했어야 했고

그럴때 집어 든 책이 <장자> 딱 한 권이었기 때문이죠.

장자에 대한 감동은 일일이 다 외우지는 못해도, 대략적인 아이디어가 저에게는 감동이었던 철학자였습니다.

 

그리고 그동안은 장자를 잊고있다가

다시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책,

그때 장자를 만났다.

 



장자 책에는 주요한 몇몇 인물이 나온다고 합니다.

혜자는 장자에게 있어서 어찌보면 놀림의 대상이기도 하지만,

장자와는 많은 이야기를 나누는 친구인 혜자.

저자는 혜자가 어찌보면 우리와 가까운 인물이 아니겠느냐 이야기한답니다.

 

 

"이 사람아, 큰 나무가 있으면 그 나무 주변을 유유히 거닐고

그 그늘에서 편안히 누워 쉬면 되지 않는가."

 

우리는 정형화된 틀 안에서 지내다보니

점점 더 보이는 모습으로만 생각하고 판단하게 되지요.

그리고 그 상태로 좋은 점으로 인식하기 보다
어딘가 빈 틈을 파고들어 나쁜 점으로 비난하고 무시하기를 즐기기도 합니다.





쓸모란, 결국 관점의 문제일 뿐이다.

저자의 해석은 이러합니다.

관점의 문제일 뿐이다.

장자는 많은 면에서 현상에 대해 조금 다르게 생각하며

긍정의 기운이 넘치는 사람이었다 싶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적인 넘어서는 정도의 긍정이 아니라

지금, 소중한 시간에 감정소비를 헛되이 하지 않을 정도를 권하죠.

 

개인은 각각 절대적인 기준이 있다고 생각하며 이야기하지만

사실 그 기준이라는 것이 보는 눈에 따라서는 절대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

 



올해도 끝나가고 곧 신년이 오지요.

점에 대해서도 장자가 한마디 해봅니다.


"임금과 함께 나랏밥 먹을 상이에요"

... 막내는 노예가 되어 임금의 몸종으로서 나랏밥을 먹으며 일생을 마쳤다.

 

장자는 참 합리적인 사람이 아니었을까 싶어집니다.

또한 인생에서 장자를 생각해보는 저자 강상구씨도 또한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겠다 하는 감상을 가져봅니다.

장자를 읽었으니, 장자 관점에서 읽어야겠다는 의지로서가 아니라,

저자도 또한 같은 아이디어를 체내화 하여 현재 응용하여 생각해보는 철학을 가지게 되었던건가 싶어요.

 

장자 책 한권이 아니라

장자를 토대로 여러 생각을 해보는 책인만큼,

다른 철학자의 이야기도 함께 하죠.


"미래를 안다는 것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 소득 없이 자신을 괴롭힐 뿐이다."

 

 




미래는 결정되어 있지 않다. 미래는 만들어 가는 거다. 

 

이 책은 꽤 두깨가 있는 책입니다.

하지만 어느 부분을 읽어도 지금 처음 읽었다 싶은 생각을 가지고 관심을 가지다보면

어느 부분을 봐도 새로운 교훈을 주는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 특히 마음에 깊이 새기는 한 마디

미래는 결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

 

장자가

주는 감동은  시대를 초월해도 지금도 받아들이기 어색하지 않은 사상이라는 점입니다.

어떤 것이든 절대 불변은 없다 하지만 장자처럼 유동적인 생각이 

현명하게 생각해내는 힘이라는 점은 절대적인 현자의 태도다 하고 이야기할  수 있겠어요.

 



자연으로 돌아가라?

아니다. 세상으로 돌아가라!


​장자는 어느 사상가보다 현실에 적합한  

특히 현대 세상에서 요구되는 생각들을 가졌다 싶습니다.

장자가 현대사회에 주는 메세지들은 저자 강상구로 인해 쉽게 받아들여지게 된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