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고 싶다는 농담 - 허지웅 에세이
허지웅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년만에 그의 에세이를 만나보게 됩니다.

사실, 전 예전의 그의 에세이집들에

그리 호감을 갖은 편은 아니었더랍니다.

예리하게 잡아내는 점은 정말 대단하지만

날카로운 느낌은 독자로서는 힘들었거든요.

아마, 그 독후 느낌은 미디어에서 활약 중에

더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다, 어느 시사회 토크쇼에서

평론가로서 참여한 태도를 보고서,

꼭 그렇지만은 않은 작가인가 했다죠.

4년만에 신작 에세이.

허지웅의 <살고 싶다는 농담>을 통해

그의 편안함을 읽어보게 됩니다.

투병 생활에서의 고생에도 허지웅 작가만의

또 다른 생각들을 이어 에세이에 담았더랍니다.







이길게요

에세이 <살고 싶다는 농담>은

허지웅 작가의 자신만의 이야기를 담지는 않았습니다.

의도 또한, 기록을 위함도 아니고요.

절망과 분투하기를 포기한 모든 이에게 바치는 책.

에세이로써 본인을 이야기하지만,

책의 상당부분이 영화에 대해서도,

상담을 요청한 이들 이야기에 비중이 있다 싶어요.

'살고 싶다'는 문장 하나만을 본다면

상당히 간절하고 절박해보입니다만,

이 또한 '농담'이라는 단어와 함께 하면서

초연하기를, 살고 싶다라는 소원이 일어날

그 어떤 고통에 대해서 빠져들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게 되는 매칭이다 싶었습니다.






절망하지 말고 삶을 이어가자는

두루뭉술한 이야기의 에세이가 아니라,

40년 즈음의 인생에서 여러 상황들과 사람들을 통해

바뀌어오는 판단들, 생각들을 나누고 있습니다.

망하려면 아직 멀었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결론이 아니라 결심이다.

요컨데, 그가 말하는 이야기들은 이렇습니다.

주도적인 삶, 상황에 대한 상호작용,

그를 통해 세워가는 나의 결심들.

나누는 생각들을 보며, 공감이 가는 부분도 상당했네요.

아마, 저도 같은 세월을 지낸 나이라 그런건지

마음가짐에 대해, 기대치에 대한 실망에 대해,

마음을 조급하게 가졌을 때 읽게 되는 에세이라서

생각하는 기회를 더 얻었다 싶은 독서였습니다.





에세이 책의 두깨가 그리 두껍지는 않지만

내 생활에서의 경우들을 반추해보며

다듬어 보게 되느라, 독서의 시간이

후딱 넘어가게 되지는 않는 책이었더랍니다.

생을 마감할 때까지 계속될 일.

타인이 문제가 아니라,

내가 나 자신에 대해 다듬고 다독이고

혹은 반성해야한다는 것,

생을 마감할 때까지

나 자신을 책임져야 하는 건 나 자신.





평가에 잠식되어서는 안된다.

마음에 평정심을 회복하고 객관성을 유지하자.

짚어내기를, 세상에서 독립적이고자

너무 외롭게 만들지 말기를 권하게 되는데요.

너무 맞추려는 가면, 시선과 평가가 아닌

타인을 이정하는 선에서의 사회적인 가면,

그러나 나의 알찬 태도, 평정심, 객관성.

시간을 보내면 점차 다듬어지는

사회속의 나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는 책이었답니다.




허지웅 에세이 <살고 싶다는 농담>은

작가 본인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이유를 분명이 합니다.

그가 그동안 왜 그리 뾰족하게 살게 되었던 건지,

담담하게 풀어내며, 고군분투하는 청년들에게

아니, 모든 독자에게 진심을 전해봅니다.

나와 같은 시행착오를 하지 않기를,

불행하거나 외롭지 않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