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이 없는 게 아니라 꺼내지 못하는 것입니다 아우름 42
김경일 지음 / 샘터사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생각을 만드는 상황의 힘'

아우름시리즈 42권은 청소년 뿐 아니라

성인도 교양도서로 '우리'를 이해하게 하는

심리학을 소개하고 있답니다.

김경일 교수님의 입담이 글자로 느껴질 정도로

책의 가독성도 사뭇 유쾌하다 싶은,

교양 심리학도서이겠지만 재미나게 읽게 되는 책.







차례만 보더라도, 우리가 우리를 이해하는데

재밌는 책인듯, 교양심리학 도서이다 싶지요.

일단, 주제는 '창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데

이것이 창의라는 성질에 관한 이해만이 아니라

우리 인간에 대한 이해부터 시작하기에

술술술.. 지식을 재미나게 누려보게 된답니다.






인간이 기계와 다른 점이 무엇일까요.

인간은 주어진 데이터(?)에 대해서 학습하는 것 이상의

유추와 은유의 기능을 이용해서 이해하고 평가하면서

주어진 것 이상의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는 것.

인문학 도서 <창의성이 없는게 아니라..>에서는

관계를 중시하는 인간이 상황에 따라 창의성을

주섬주섬 꺼내 사용하게 되고,

더불어 '모른다' '아니다'라는

틀에서 나오는 성향에 의해 발전하는 생명체였음을

책을 통해 세삼 느끼게 된답니다.

자기 인생의 심리학자가 되어 보세요

더불어, 이 책을 통해 우리가 가져야 할 기본 목표.

결국 우리를 이해해야 창의성이 발현되니 말입니다.




메타인지는 친숙함으로 판단해서

인간으로 하여금 불필요하게

뇌를 검색하는 일을 막아주고,

다음 행동을 하게 만들어주는

참으로 고맙고 유용한 도구입니다.

(p.56)

'메타인지'에 대한 설명은 물론 이미 많은 곳에서

들어보게 되곤 하는데, 아우름시리즈의 책에서 보건데,

이 능력에 관한 설명이 정의에 그치기보다,

술술 풀어가는 설명이 맞다 맞다~ 알게 되는데요.

사람은 기계와 달리 상황이나 관계 속에서 학습한 것 이상으로

'모른다'라는 답을 제빨리 이야기할 수 있게

메타인지가 작동하게 된답니다.

그리고 이 메타인지는 이타성을 가진 사람에게

더 활용성이 강해지게 되는데요.

도움을 청하는 이들은 대개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

그렇다면 그들에게 어려움을 해결해주려면

즉, 행동이나 설명을 할 수 있으려면

'내가 잘 알아야 한다'는 것이 전제가 되겠지요.





AI가 인간세계를 지배할 것이라고,

일자리 위협이 있을 것이라 했을 때,

공존의 대비책은 '인간다움'이 핵심으로 꼽혔지요.

인지심리학을 통해 우리를 이해하게 되는

이번 책에서도 또한 창의성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간다움'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인간에게 편의를 주기 위해 나타난 것이 AI이죠.

우리가 인간을 스스로 이해하는 철학자가 되고,

우리의 창의성을 꺼내 쓰면서 엮인 관계의 사회를

'이타성'을 활용하며, 인간다운 인간이 되어봅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