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줄리언 반스의 아주 사적인 미술 산책
줄리언 반스 지음, 공진호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런 미술 에세이를 쓸 수 있는 사람은
격한 공감을 해봅니다! 이런 미술 에세이라니!
사실 이 책을 안지는 꽤 되었는데,
'글이 참 많네! 언제 읽는담' 했거든요.
죄송합니다, 이 책은 정말 읽는 재미가 있으니
미리 읽었어야 했는데 하는 반성을 해봅니다!
아시다시피 맨부커상 소설가 줄리언 반스는,
글이 은근 담담하고 담백한데 느낌이 스윽 오는
부담스럽지 않은 이야기꾼(?)이랄까요.
내가 모로를 좋아한 또 한 가지 이유는
그의 기묘함 때문이다. 실물을 취해
천부의 재능으로 신비스러운 어떤 작용을 가함으로써
실물과 관련을 지니되 그것을 보다 더 강하고,
더 강렬하고, 되도록이면 더 이상한 다른 무언가로
변질시키는 것.
<아주 사적인 미술 산책>은 '사적'이라고 명시하면서
화가들에 대해서 슬슬 이야기를 풀어놓고
그가 택한 섬세한 그림 컬렉션을 해석해본답니다.
서문에서 줄리언 반스가 말하듯,
그의 취향은 '그렇다 하더라'하는 대세보다는
그의 눈으로 특징을 강조해서 느껴보는 책이지요.
특히 권하고픈 독자층은 저같은 미술 문외한들요.
미술관에 갈 때마다 하나씩 더 배우게 되는 이들에게
그의 지적인 설명들이 큰 도움이 되리 싶습니다.
전문 미술 분야로의 '공부'가 아니라,
예술 분야가 예술만이 아니라 시대와 관련해서
그 흐름을 함께 이해할 수 있는 '교양'이 되거든요.
죄송합니다. '제리코'라는 화가는 처음입니다.
미술관에서 열려야만 이런 화가가 있구나
겨우 몇몇만 알고 있는 예술무식 1인으로서,
줄리언 반스의 그림 컬렉션들이 넘나 감사합디다.
'제리코'의 작품에 소제목으로
'재난을 미술로' 라는 한 줄을 보며
처음에는 그림 설명 정도일까 싶었지요.
처음부터 불길한 징조가 보였다.
소설가가 쓴 매력가득한 미술에세이,
와우! 글의 시작이 소설입디다!
그림부터 나오지 않고, 화면을 머리속에
독자의 상상으로 설정하게 하거든요.
재난은 어떻게 예술이 되는가?
줄리언 반스는 역시 소설가다운 재능으로,
뭐 하나 그냥 지나가지 않는 섬세함을 가지는데,
미술 에세이에서 그가 풀어내는 생각들도 마찬가지.
찬양하는 것은 절대 아니지만,
그러한 재난에 대해 예술가들이 작품으로 뽑아내니
뭐 어쩄든 그나마의 쓸모라면 쓸모라고.
책에서 소개해주는 제리코의 그림,
<메두사의 똇목>이나 <메두사호, 뗏목 위에서 식인 장면>
전체 그림만 봐도 '재난'이로다 싶은데요.
제리코의 작품을 확대해서 심층 분석하기를,
제리코가 그리지 않은 것들을 짚어보며
'추정'과 더불어 제리코가 지양했던 것들도 따져보니,
재난을 그리되 지나치지 않게, 충격적이지 않고
더불어 정치적이지 않고 조금 모호하게.
줄리언반스의 글을 보다보니,
그림작품에 상상력이 더해있으면서
읽는 이들에게 또한 영감을 주게 하는 제리코.
책의 소개처럼, 줄리언 반스의 미술 에세이를 읽다보니
미술관에 달려가고 싶게 만드는군요!
제리코에 이어 프로이트도 저에게는 처음인데,
'일화주의자'인 프로이트가 자기 인생에 대해서
직접 말하기 보다 작품으로 담아내는 태도도
사뭇 많이 멋지다! 매력을 느끼게 되었다죠.
예술가의 세세한 이야기들을 싣고 있기에
그리하여 예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면서 동시에
읽는 재미가 있는 지적인 에세이.
17명의 화가에 관한 깊은 이해를 독자에게
소설을 읽듯이 빠져볼 수 있도록 촘촘히 알려준답니다.
"미술은 단순히 삶의 전율을 포착해 전달하는 것이 아니다.
바로 그 전율이다."
줄리언 반스의 세밀한 관찰과 풀어내는 표현으로
미술에 아주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모든 미술 독자에게 강력 추천한다고 하는데
'모든'에 충분히 포함이 되어 매력을 느낄 교양도서네요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