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는 만남과 시간으로 태어난다 - 매일이 행복해지는 도시 만들기 아우름 39
최민아 지음 / 샘터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도시공간은 사람이 모이게 하는

응집력과 매력을 지닙니다.

이곳에서 포용력 있는 문화가 발달하고,

사회는 한 걸음 나아가며,

더불어 사는 풍요로운 삶을 익히게 됩니다.





매일이 행복해지는 도시 만들기

아우름 시리즈 39권은 도시공간에 관한 인문학 도서,

<도시는 만남과 시간으로 태어난다> by 최민아


도시공간, 우리의 삶의 공간으로 가까이함에도

딱히 신경 써보지는 않고는 하지요.

어디 여행가서 타국의 도시라면 신경을 쓰는데 말이죠.

요즘 공간에 관한 책이 많이 나오고 있어요.

아우름 시리즈는 청소년 추천도서로 눈높이가 있다보니

성인에게도 물론 어렵지 않게 풀어주고 있어서,

공간에 관한 인문학적 해설을 부담없이 보기에

이번 책, 추천하고 싶은 교양도서랍니다.





사람들은 새로운 것에 호기심을 갖고 끌리지만,

오래되고 익숙한 것에는 편안함을 느끼고

마음의 안정과 휴식을 찾습니다.

빠른 속도로 변하는 도시일수록 사람들은

변하지 않는 공간, 예전의 숨결이 남아 있는 공간에

그리움을 느끼고 그곳에 머물고 싶어 하기 때문이지요.

편리함과 편안함 사이. 편리함을 우선하던 우리도

점차 편안함도 함께 챙겨보고 싶어하곤 합니다.

책은 전체적으로 '만남'이 이루어지는 따뜻한 공간으로

도시 공간의 온기 어린 숨결을 느껴보도록 이야기합니다.

사람이 모이고, 시간을 담아내는 공간을 살펴봅니다.

사람과 도시와의 관계는 '거리'를 통해 만들어지니 만큼,

그간 자동차가 쉽게 다니는 넓은 도로 중심의 거리를 지닌

공간을 만들어내었더라면, 이제의 추세는 따뜻함이 있는

물리적인 거리가 좁아 온기를 서로 느낄 수 있는

감성의 공간으로서의 도시에 강조를 해봅니다.

도시는 만남을 위해 존재한다고 보니만큼,

동네의 시장, 녹색 여백의 공간에서

도시공간은 대화가 오가는 공간,

템포를 바꾸어 휴식이 필요한 공간이어야 합니다.

도시 발달은 기조가 바뀌기를 필요에 의한 것 같습니다.

일정공간에서 많은 사람이 살면서 편리함 위주로

도시계획을 하던 복잡한 모더니즘의 기조에서

생활이 편안하고 가깝게 느끼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기조.

편리함의 기능성보다는 편안함의 심리적 안정을 챙기기.

최근에는 '뉴어버니즘'으로 자연을 품어낸 도시공간이 유행.

생각해보면 우리 조상들이 군락을 이루어서

자급자족하듯 살아가는 공동체 마을이 떠오르네요.

공동체 마을에 서로 의존하고 가까이 지내게 되면

자동차로 이동할 물리적인 거리도 좁아지니

이동거리가 줄어들어 더 걷고 더 이야기할 수 있지 않을까..

더 친밀해지지 않을까, 생각도 해보게 됩니다.





점점 사람들은 새로운 것, 반지르르한 것만이 아닌

'시간'이 보존 된 공간을 찾곤 합니다.

오랜 시간이 지나도 도시에 남아있는 '시간'의 공간.

현대적이고 편리함의 기능추구만이 아닌

시간을 품어낸 편안함의 감성의 공간이 인기를 끕니다.

애정과 노력이 지켜낸 시간의 공간.

도시공간, 자본이 움직이 난 공간이 아닌

삶이 살아가는 만남과 시간의 공간으로 바라보게 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