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리기, 몰입의 즐거움
미하이 칙센트미하이.크리스틴 웨인코프 듀란소.필립 래터 지음, 제효영 옮김 / 샘터사 / 2019년 7월
평점 :
몰입의 권위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의 권위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달리기를 기반으로 살펴보는 '몰입'의 중요성.
몰입에 왠 달리기? 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교양심리학도서, <달리기, 몰입의 즐거움>을
쭈욱~ 재밌게 읽다보면 고개를 끄덕끄덕!
일상에서도 행복으로 이어지는 제반 단계를 발견합니다.
몰입은 뇌 활성이 변하여 긍정적인 자기 감정을 증대하는
자기 목적적인 경험으로, 몰입 경험 자체가
경험하는 이에게 보상이 됩니다.
그리고, 이는 노력에 의해서 증가하는 성질이랍니다.
몰입은 자칫 신비롭고 순식간에
지나가는 경험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일종의 심리학적 현상이다.
p.14
어떤 요소가 몰입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달리기를 기반으로 알아보게 되는데요.
물론 '비법'이라고 딱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선행단계를 포함한 아홉가지 구성요소와
몰입에 중요한 특성, 외부환경과 몰입,
그리고 몰입이 깨졌을 때의 회복방법 등.
운동에서 뿐 아니라 일상에서도 실행가능한
심리학적인 요소들을 차근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몰입의 선행요소로 명확한 목표,
해결과제와 기술의 균형, 정확한 피드백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특히 목표의 경우 스스로 만들어가니,
특히 중요하게 생각할 선행요소다 싶습니다.
▶ 구체적, 평가 가능성, 달성 가능성, 관련성, 시간제한
이루어 낼 수 있는 목표를 잡는 것이 몰입의 시작점이지 싶습니다.
몰입했던 순간의 기억은 달리면서
벅차다고 느껴질 때 헤쳐나갈 수 있는 힘이 됩니다.
달리기를 통한 몰입의 중요성을 느낀다면
삶 자체에서도 당연히 회복탄력성에 도움이 크겠지요.
또 그런 일이 일어나지 말란 법이 있어? 하며
몰입으로 다시 접어들고 처리결과의 행복을 느끼게 됩니다.
몰입이 물론 노력으로 다져질 수 있지만,
성격에 따라 더 잘 달성할 수 있다고 합니다.
▶목표지향적, 내적동기, 기술을 통달하는 데 주력,
내적 통제 소재, 낙관적, 성실함,
신경성 불안감이 낮음, 집중력이 높음.
유리한 성향인 성격들을 보며, 성격도 또한
노력의 한 목표로 잡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물론 모든 성향을 다 구축할 수는 없을지라도,
어느정도까지는 노력으로 만들어볼 수 있을 성격들이죠.
교양심리학도서 <달리기, 몰입의 즐거움>은
몰입에 대한 제반요소들을 준비단계에서
실행을 위한 요소들, 장점과 영향 요소,
더불어 몰입이 깨졌을 때까지 알려주면서
일상적인 달리기로 몰입 가능성을 키우는 법까지
건강한 심신을 위한 지혜를 가득 나눠주고 있네요.
더 많이 행복하고 더 큰 성취감을 느끼며 살아간다!
자신의 시간과 에너지를 중요한 한 가지에 쏟아붓는 몰입.
"달리고, 몰입하고, 행복하라!"
건강하고 행복한 생활을 위해 실천해봄직한 방법이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