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스스로 빛나는 별이다 - 우주에서 발견한 삶의 지혜 아우름 38
이광식 지음 / 샘터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과학 인문학도서 <우리는 스스로 빛나는 별이다>


"별과 우주를 알면 나와 세상이 보입니다."
우주에서 발견한 삶의 지혜

'별과 우주'를 재미있게 알려주는 이광식님의 책.

대장정의 큰 줄기를 이렇게 재밌게 쓴 책도 있다니,

교양과학으로, 특히 우주과학에 대한 인문학도서로

청소년들 뿐 아니라, 성인들에게도 추천하는 책입니다.

별과 우주와 나와 세상의 상관관계, 책을 통해

알게 되는 재미와 더불어, 우주를 알게 되는

지적 즐거움을 가득 충전해주는 책.

<우리는 스스로 빛나는 별이다>









팽창하는 우주. 빛의 속도로 팽창하는 우주에 대해

발견했던 과학자들의 업적들도 소개해주어서

과학사를 함께 꿰뚫게 되는데요.

공간과 시간이 응축된 한 점이 폭발해

우주가 출발했다는 르메르트의 빅뱅 이론은

처음에는 푸대점을 받다가 허블에 의해

관측으로 우주가 팽창하고 있음을 발표하면서

과학사상 최대 발견으로 받아들여지게 됩니다.



"태초에 상상할 없을 만큼

아름다운 불꽃놀이가 있었습니다."



빅뱅 이전에는 어떤 사건이 있었을까요?

빅뱅 이전은 아무것도 아니었습니다.

시간은 빅뱅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책을 읽으면서 우주에 대한 교양과학 지식을 쌓지만,

덩달아 '원초'에 대한 생각도 해보게 된답니다.

무한대라고 하지만, 규정된 것들로 무한대라 하면

결국은 그건 규정된 것들로 이뤄지니 무한대가 아닐 수도.

끝없이 팽창한다고 해도 어딘가는 끝이 있기 마련이겠고.

빅뱅이전이라고 이야기하자니 그 이전이 없다고 보게 되고,

무슨 원인으로 응축되어 폭발하게 되었다 딱히 꼬집기엔

모를 수 있는.. 생각하는 것보다 명확한 인과관계를

모든 것에 쓰일 수 없음을.











인류의 오랜 수수께끼 '만물의 기원은 무엇인가'.

과학은 철학과는 다른 것 같지만, 결국 사람이 하는 학문.

궁금증은 철학적인 사고나 혹은 일반적인 상상력에서

우주도 별도 더 자세히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아우름시리즈 38권, 우리는 스스로 빛나는 별이다 에서는

별과 우주에 대해 알려주면서, 그리하여 그 시기 생겨난 원소는

우주 공간에서 지구에 이르고, 지구속 생명체에 이어이어 오니

우리도 결국 우주에서 왔음을 스케일 크게 느끼게 되지요.



태초에 '수소'가 있었다는 내용의 부분은

이야기 형식으로 자세히 알려주다보니

과학인데도 재밌게 읽혔던 부분이었어요.







블랙홀, 화이트홀, 웜홀 등 개념만 살짝 알고 있었다가

이번 책을 통해 자세히 설명을 듣게 되는데요.

블랙홀은 완전히 검은 색은 아니라는 것을

호킹박사는 양자요동 현상을 통해

'호킹복사'라는 빛을 방출하며 '블랙홀 증발'을 하고

그렇다보면 수조 년 뒤에는 블랙홀 자체가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우리가 블랙홀에 빠지게 되면 어떻게 될까?

블랙홀에 접근만 해도 가공스러운 중력에

몸내에서 힘의 차이가 생기면서 몸이 길게 늘어난다고.



우주 탐사선에 관한 이야기까지 이어이어 지금으로

그리고 앞으로의 우주의 미래에 대해서도 이론을

여러가지로 알려주고 있는 지적인 교양도서.

어느 페이지를 펼쳐보아도 생소한데도 흥미로운 내용,

나라는 존재를 지금 당장만 생각하기보다

내가 지금에 이르기까지 '우주역사'를 생각해보며

뭔가 으쓱~ 느낌도 들더라구요.

그 여러 확률과 긴 시간이 이어와서 말이죠.

초등고학년부터 청소년들에게도

성인대상 독자들에게도 추천하고픈 멋진 인문교양서.

<우리는 스스로 빛나는 별이다> 였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