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탐구 생활 2 : 여행과 문화 - 통일을 준비하는 생활 상식 만화 남북 탐구 생활 2
김덕우 지음, 유난희 그림, 박영자 감수 / 미래엔아이세움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 북한지역 쪽도 자유로이 여행을 하게 되겠죠?

그 '언젠가'를 기대하며 차이의 이해 간극을 줄이는

초등 상식도서! :D <남북탐구생활> 2권이 나왔어요.


이번에는 '여행과 문화'라서

아이들 뿐 아니라 저도 더 재밌게 읽었지요.







목차만 봐도 '오!? 그래?' 하며 궁금해 할 내용 구성.

일상생활 속 문화, 차이나는 용어 등등

훗날 북한주민들 만나거든 대화가 어렵지 않도록

초등 생활상식 도서로 이해해봅니다.







우선, 평양부터 이해해봅니다.

북한의 중심지로 서울과 비교하면

땅의 크기는 세 배이고 인구는 삼분의 일 정도.


오랫동안 한반도 북쪽 중심지였기에

유적도 많고, 특히 고구려 유적이 많데요.


평양은 북한의 정치, 문화의 중심지로

정권에서 허가된 사람만 살고 있다고 하네요.





우리와 체제가 많이 다르기에

개인의 자유에 대해서는 전혀 감이 안잡히는데

북한에도 인기 직업이 존재하지만,

출신 성분에 따라서 가능여부는 다르다고.


조상이 정권에 기여한 정도에 따라서

출신성분이 정해진다고 하네요.






지리에 따른 음식문화도 다르지요.

서해에 인접한 황해도와 평안도 지역에는

젓갈이 발달하고, 함경도 산간 지역에는

이동이 어려우니 소금을 많이 쓴다 하니,

음식문화도 결국 자연환경과 가장 관련성이 있군요.







북한이 타국들과의 문화교류가 많지 않으나,

그럼에도 북한에도 새로운 문물들이 들어온다고.

외국노래를 연주하는 공연도 있기도한데요.


<남북탐구생활>은 설명하면서

북한의 단어들도 소개가 있는데,

'고기겹빵'이 그 중 가장 재밌었어요.

단어만 보고도 어떤 걸 이야기하는지 알겠죠.






북한경제는 자본주의와 완전 반대이겠거니 했는데

1970년대는 함께 일하고 나누어 얻는 경제였다지만

1990년대 이르러 경제가 위기에 처하니,

북한도 '장마당'이라 불리는 시장이 존재한다고.






2008년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하여

금강산을 찾기가 어려워졌지만..

그 전에는 우리나라 사람들도 금강산에 갈 수 있었죠.


최근에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도 생기면서

안타까운 '사람들' 교류는 있기도 해요.






초등상식도서 남북탐구생활 2권에는

아이들이 보기에도 새롭지만

어른이봐도 새로운 상식들이 가득.


언어생활이 우리처럼 '은어'가 존재한다는 것도

재밌는 부분이었답니다.

또, 같은 상황에 속담이 다르게 표현되는 것도

그 또한 신기한 초등상식도서 <남북탐구생활2권>

만화가 함께 곁들어져서 읽는 재미가 더해지며

여러모로 상식을 즐겁게 채우는 실한 책이었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