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태니커 만화 백과 : 대중음악과 케이팝 브리태니커 만화 백과 62
봄봄 스토리 지음, 정윤채 그림, 배순탁 외 감수 / 미래엔아이세움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도서 브리태니커 만화백과로 이해하는
<대중음악과 케이팝> ♬
대중문화와 한류, 케이팝에 대해서
딱히 책으로 정리해본 적이 없던 아이들,
이번 기회에 어린이백과사전으로 이해해보아요.
교과연계 도서이니만큼, 관련한 단원으로는
초4~5 음악, '세계를 춤추게 하는 우리 음악' 외,
ㄱ중1음악, 고1음악으로 쭉 이어지는군요.







우선, 어린이백과사전 브리태니커만화백과,
인포그래픽으로 맥을 이어 이해해봅니다.
'다양한 대중음악'으로 세계의 음악장르,
 '세계 대중음악의 역사'를 통해 흐름을 이해해요.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부터 해봅니다.
스포츠 경기관람은 대중문화일까 아닐까?
아니죠!? 아닌게 아니죠! :D

대중문화는 넓은 개념으로
많은 대중들이 공통으로 쉽게 접하고 즐기는 문화!








대중문화는 특정 사회나 계층을 넘어, 대중들 모두가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는 문화를 말합니다.
대중을 대상으로 하기 떄문에 대량 생산되며, 다수에 의해 대량으로 소비됩니다.
대중 매체를 통해 빠르게 전달되고, 인기를 얻을 경우 속도가 더욱 빨라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우리는 대중문화 하면 음악이나 영화만 생각하지만
게임이나 스포츠 등도 대중문화의 범주에 들어가지요,
책에서 짚어 볼 '대중음악'은 대중문화의 대표적인 것입니다.

우선, 각 나라에서 크게 유행했던 전통적인 음악, 다양한 전통 가요에 대해 알아보아요.
미국의 컨트리 음악, 프랑스의 샹송, 이탈리아는 칸초네 등이 있고, 우리나라는 민요나 트로트가 있어요.
트로트는 일본의 엔카에서 시작했는데 엔카란 일본 근대화 과정에서 서양 음악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일본 전통 가요랍니다.
일본의 민속음악에 서양의 폭스트론 리듬이 합쳐져 엔카가 시작되었어요.
엔카의 특징은 '라시도미파' 5음계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우리의 트로트는 가사가 엔카와는 달라서 정서적으로 차이가 있어요.

그리고 이어 다양한 대중음악을 알게 됩니다.
저항의 상징인 포크음악, 강렬한 록, 부드러운 발라드..
자유롭고 솔직한 음악인 힙합.








어린이백과사전 브리태니커 만화백과를 통해,
각 음악들을 구성하는 요소들도 알게 되는데요.

지금은 힙합을 음악 장르의 하나로 알고 있지만,
미국 청소년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문화현상인 '힙합',
힙합의 기본요소로는 랩, 비보잉, 디제잉, 그라피티를 꼽아요.

힙합가수들에 대해 MC를 앞에 붙이는데,
이게 뭔가...했었거든요.
저도 책에서처럼 직업 엠시인가 했는데..

Microphone Checker의 약자로,
직접 가사를 쓰꼬 랩하는 사람을 뜻한답니다.
마이크로 힙합을 한다는 의미도 있고요.








1990년대 후반, 한류 열풍이 시작되어 세계적으로 케이팝도 유행하게 되었지요.
그래서 이에 대해 전문적인 문화산업이 육성되었는데,
바로 '연예기획사'제도가 기업적으로 발전했지요.
연예 기획사는 가수를 육성하기 위한 전문가들인데,
안무 제작 및 트레이닝, 음반 제작, 마케팅 및 홍보를 맡아요.
기획사에 소속된 메니저가 일정을 동행하며 스케줄 관리를 하고
공연이나 광고 가은 다양한 수익 사업을 연결시켜주면서
연예인들이 스타가 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케이팝이 세계적인 유행이 가능했는데요.
공간적인 제약이 사라지면서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전파되었기 때문이죠.
특히 아시아권에서는 문화적인 동질감의 영향으로 유행의 이유가 더해집니다.
하지만 나라 간 오해와 왜곡이나 역사,정치적인 이유,
가장 큰 영향은 경제적인 부분으로 반한이나 혐한이 일어나기도해요.
그 뿐 아니라, 유행만 쫓아 비슷비슷한 유형의 콘텐츠를 만들기도 하여
한류에 대해 다시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신한류'로 한계에 부딪힌 한류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자 하지요.









대중음악이 상업화 되면서,
더 많은 돈을 벌고자 자극적이거나 선정적인 문제점도 있고,
획일적인 음악이나 음악의 질적 하락, 그리고
 다른 사람이 만든 창작물을 자신의 것처럼 이용하거나
일부 혹은 전체를 베끼는 '표절'의 문제도 있습니다.
더 발전하는 대중음악이 되려면 이러한 문제는 일으키지 말아야겠죠.








다수에 의해 생산되고 소비되는 '대중문화'
이제는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대중매체의 발달로
대중문화의 소비자도 생산자로 자유로이 넘나듭니다.
어린이백과사전 브리태니커 만화백과 <대중음악과 케이팝>을 통해
대중음악과 케이팝에 대한 흐름을 쭈욱 이해하는 것 뿐 아니라,
대중문화의 생산자로 활약하는 슬기와 로운이에 대해서도
또한 아이가 공감하면서 읽어가게 되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