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 공주 - 2018년 하반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나눔,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책고래아이들 11
별아래 지음, 지현경 그림 / 책고래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종대왕의 딸, '정소'가 출연하는 
시대는 바야흐로 조선인 초등도서, <나비공주>
다 읽고서의 감상을 말씀드리자면
아... 채화장인의 숙명인 '도래'의
성장동화이면서 동시에 시대상을 알게 되는
역사동화로 짠한 마음이 쿵- 마음을 울리는 책이에요.






할아버지, 아버지를 이어 아들 도래는
채화(비단으로 만든 조화)에 소질이 있어요.
아버지는 입궁도 하게 된, 채화장인이었고요.
아버지는 도래에게 항상 엄하게 가르침을 주며
정성을 다해 채화를 만들라 일르셨죠.

그런데, 요즘 들어 채화는
아버지가 입궁한다 하여, 가정형편이 좋지 않아
어머니가 고생하는 모습을 보니, 채화장인이 되는 것이
그리 대단치 않아보입니다.

아버지는 집에 아주 가끔 오십니다.
채화장의 일은 정말 바쁘거든요.
궁궐에서의 행사에 꽃이 필요하거나
혹은 신하들에게 내리는 꽃이 필요하면
정말 꽃쳐럼 표현이 되어야 하는 채화는
재료준비부터 만들기까지 대단한 정성이 필요하니,
집에 오는 날이 그리 빈번치 않았죠.
도래는 아버지에게 봇짐장수가 되어 돈을 벌겠다 합니다.
하지만, 아버지는 딱 1년만 채화장인들과 함께
궁궐에서 어떠한 일인지 살핀 후에 생각하라 하죠.
처음에는 반항했지만, 딱 1년만 생각하기로 해요.








채화장인들과 함께 지내며 심부름도 하고
혹은 종종 재주를 발휘하던 도래.
어느날, 선이 고운 계집애가 꽃잎에 손을 뻗으니..

"누군데 여길 멋대로 들어온 거야?
이건 임금님의 꽃이야!
잘못 손대면 경을 친다고!"

그녀는 '정소'였습니다.
도래는 그저 '정소'라고 알고 말을 텄죠.
그런데 알고보니 그녀는 세종의 딸, 왕녀아기씨였더랍니다.
신분을 알고 나서, 도래는 어려워했지만
둘만 있을 때는 정소는 편하게 지내자 했죠.
둘은 그렇게 우정을 쌓았답니다.







채화는 진짜 꽃처럼 만들어야 했기에,
비단을 물들이기를 꽃의 색과 가까운 염료를 통해
그 재료준비부터 정성을 다해야했죠.

<나비공주> 책을 통해,
채화장인의 일도 신기하게 알게 되었지만,
그 작업의 긴박함과 정성도 소개해주고 있기도 하여
초등도서로써 아이들에게 상당한 상식을 준다 싶었습니다.







또한, 책에서 감동을 또 한층 받게 되는 건,
재주가 비상하다 하여, 시샘한다거나
혹은 얕보는 거만한 태도는 전혀 없고
정성을 다하고, 존중하고, 인정하는 관계가
초등도서로써 지식 이상의 가치를 전달해주는 책이었습니다.

심지어, 
신분으로 보건데 미천하다고 깔볼수도 있는 동료에 대해서도
예의를 다하는 도래의 모습은 고운 심성을 작품뿐 아니라
사람에 대해서도 펼쳐내는 아름다운 모습이었습니다.







때는 역병이 돌기도 하는 시대.
고생을 하기도 하고, 마마가 돌기도 하는
의술이 그리 발달치 않았던 시대였습니다.

그리하여, 정식 입궁이 되지 않은 도래로써는
다행히 이를 피하게 되는 기회가 되기도 하고,
또 다른 사고로 인하여.. 인생사 세옹지마를 느끼게 하니.

아버지의 가르침이 새삼스레 더 느껴지고
재주는 하늘에서 주어졌음을 알게 되니,
그리하여 세상을 위해 다시 성장한 존재가 됩니다.
나비 공주를 만나게 되고,
어머니와 동생 도희를 만나게 되며
그리고 운명을 기꺼이 맞아들이게 됩니다.








꽃은 우연히 피지 않는다.
극심한 더위와 추위,
가뭄과 장미를 견뎌 내야 해.
꿋꿋이 세월을 이겨 낸 꽃나무만이
봄을 맞이할 자격을 얻는 거야.

초등도서 <나비공주>
시대를 배경으로 '채화장인'으로 성장하는 도래를 통해
생소하지만, 세밀히 알아두어야 하는 역사적 문화를 알고,
세밀하게 이어지는 스토리를 음미하며 
그 감흥에 푹 빠져보게 된 멋진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