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입속에서 시작하는 미생물 이야기 - 내 안의 우주
김혜성 지음, 김각균.천종식 감수 / 파라사이언스 / 2018년 4월
평점 :
지구상에 미생물이 없는 곳은 없다
미생물에 대해 아는 것이 참 없지만,
그럼에도 재밌게 읽게 되는 교양과학도서!
입의 감각은 그저 몸의 다른 감각과 같겠거니 했는데,
뇌에서 운동과 지각을 다루는 부분인 대뇌피질에서
혀와 입술을 포함한 입의 자극을 느끼고 반응하는 영역이
다른 부위에 비해 훨씬 넓다는 사실!
책은, 그렇게 '입' 부터 미생물의 이야기까지!
● 먹는 것은 미생물도 받아들이는 과정
미생물들은 서식할 곳이 필요하니,
몸 속 여러 세포들이 후보로 가능하지만,
입 안의 혀는 늘 습기가 많고 혀 등의 표면 돌기로,
세균이 살아가기 좋은 서식처랍니다.
또한 단단한 치아는 항상 그 자리에 있으니
또한 미생물이 서식하기 좋은
우리 몸 '바이오필름'의 중심지이기도 하지요.
지구상 어느 곳에도 미생물은 존재하는데,
이러한 '입 속' 환경으로 음식물이 들어오니,
우리는 음식을 먹으면서 미생물을 모시며,
우리는 미생물과 자연스레 공존하게 된답니다.
피에서 나온 침은 몸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기도 해요.
그리고 침은 음식물을 넘기는데 도움을 주는데,
탄수화물의 소화에도 한 역할을 하는 효소,
아밀라아제가 들어 있는데요.
아밀라아제를 만들 수 있는 유전자는
약1만년 전부터 출현했다는 사실!
그 이전의 인류나, 침팬지, 보노보 등의
유인원에게는 없다고해요.
농경을 시작하면서 곡식에 의존하면서
AMY1라고 하는 타액 아밀라아제 유전자가 생겼답니다.
그리고 이 아밀라아제 덕에 안정적인 에너지원 확보를
기꺼이 받아들여 활용가능하게 되니,
덕분에 인류의 종이 대폭 확장하게 되었답니다.
책을 통해 미생물에 대한 이해도 재밌었지만 시대에 따라
바라보는 시각도 달라졌다는 점도 흥미로웠습니다.
세균,고세균, 진핵생물에 대해
19세기 중반 다윈부터 20세기까지는
일정한 방향으로 진화한 갈라진 나뭇잎 모양이었다면,
21세기부터는 생명나무 모양으로 분류하여
존재 자체에 대한 다양성을 인정하고, 생물학의
중심으로 미생물을 인정하게 되었답니다.
<입 속에서 시작하는 미생물 이야기>에서
구체적으로 미생물의 분류에 따라
세균, 고세균, 진핵생물에 대해 설명이 나오는데요.
고세균과 세균 간에는 협력하기도하고 경쟁하기도 하며
환경이 바뀜에 따라 군집 관계도 변한다고 해요.
고세균은 우리 몸의 생리나 질병에 영향을 미치고,
진핵미생물 또한 적은 비중으로 우리몸에 존재하지만
우리 몸을 서식지로 존재하다가, 상황이 변하면
영향을 끼치게 된답니다.
우리 몸에는 늘 바이러스가 존재한답니다.
그런데 이런 바이러스는 B세포나 T세포가 방어하다가
면역력이 약해지면 바이러스의 힘이 영향을 끼치게되죠.
맨눈으로 보이지 않지만 경쟁하고 공동체를 이루며
미생물들은 그들만의 사회(?)를 이루고 살아있어요.
그리고 미생물들과 우리는 또한 균형을 맞춰 살고 있지요.
힘의 균형에서 밀리지 않기위해서는, 최선을 다해야하니,
책 속, 입속 미생물 관리의 5가지 조언을 들어봅니다.
1) 치과를 가볍게 이용하자
2) 약에 의존하는 것은 최소화하자
3) 치간칫솔이나 치실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자
4) 잇솔질 방법을 바꾸어야 한다
5) 치약 선택 기준을 바꾸어야 한다
치과의사이자 미생물연구가인 저자 덕분에
흥미롭게, 읽기 편하게 미생물의 이야기를 읽어봅니다.
또한, 건강관리에 관해서도 팁을 얻게 되기도 한 유익한 책!
교양과학도서, <입 속에서 시작하는 미생물이야기>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