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종합전형 합격생 100인의 학년별 학생부 - 2020년도 현 고3 기준 입시정보 따라잡기 1
어준규.이수민 지음 / 길위의책 / 2018년 3월
평점 :
절판





입시 전문가, 어준규 & 이수민님의 가이드.
대입을 두고 고등학교 생활을 어떻게 피력해야 하는지
실용적으로 입시정보를 알려주는 자녀교육서,
'학생부 종합전형 합격생 100인의
<학년별 학생부> ' 랍니다.





교육은 산업의 요구를 반영하기 마련이라고..
즉,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상 기준이 있죠.
지금은 '협력과 리더십'이 중요한 시기.
교육정책도 그러한 내용을 품어내고 있어요.
교육과정이 이러한 요구에 맞춰 설계되려하는데,
이를 담아 평가하는 것이 '학생부 종합전형'.
예전 우리 세대와는 달리, 아이들은
정량적인 것이 아닌 정상적인 포인트로
대상을 묘사하게 되니,
자녀교육서를 통해 배워보게 됩니다.







2015개정 교육과정, 3가지만 기억하자
1. 문이과 구분이 사라지며
2. 선택과목이 중요해짐
3. 나댐과 그 학생부 기록이 중요함.


융합적인 사고가 중요해지니만큼,
딱 이거나 하는 정답이 아니라 어려 지식들의 영향을 끼쳐 
새로이 만들어내는 사고가 중요해지죠.
대학도 공부하는 방식에 주입식으로 수동적인 인재보다는
에너지 있는 적극적인 인재를 훈련시키기를 노린다 싶습니다.







대학입시에 체계적인 가이드를 주는 책,
<학년별 학생부>는 두루뭉실하기보다
체계적으로 구분을 해서 풀어내는데
또한 중간중간 좀 더 구체적인 내용들이 있어요.

'면접과 학생부의 관계'를 또한 예로 들어주며
이러한 질문들이 훅~ 들어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입시전문가의 안목으로 답하는 이의 대답방향도
짚어주고 있더랍니다.





책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바로,
학년별로 어떻게 작성하느냐 하는 부분.

학생부 기록에 대한 포인트를 읽어보며
그리하여, 각 학년에 어떻게 임해야 하는지도
또한 명심하게 됩니다.

1학년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니만큼, '탐색'으로
2학년은 탐색을 마무리하고 '구체화'하는 학년으로
그리고, 3학년의 경우 필요하면 활동을 계속하지만
학교에서 권하지 않는 이상 무리하지 않는 시간으로.
각 학년에 포인트를 두고 학생부를 기록하도록
큰 그림을 그려주는데, 이를 통해 각 학년에서의
학교 생활의 방향을 대략 이해해볼 수 있었습니다.



각 학년에 큰 그림으로 알려주고서,
구체적으로 학생부의 항목들에 대처할지 알려주는데
활동의 결과적인 면을 무미건조하게 쓰기보다
어떠한 포인트로 적어야 하는지도 차분히 알려주네요.





작성요령이 구체적으로 나온다 해도,
학생에 따라서 생활은 모두 다르기 마련인터라
학교 생활을 어떻게 피력할 것인가 안내해주는데,
그러나 책은 단순히 '요령'만을 말하기보다,
학생의 입장이 모두 다를지라도
각자의 입장에서 최선을 다해 셀링하기 위해서는
학교 생활을 열성적으로 꾸려나가기를 권하네요.





대학입시에서 '합격'이라는 결과를 위해서지만
무엇보다 학교 생활을 충실히 해야하는 전제에서
학생부를 작성하게 되는데,
내신에 대해서도 비록 성적이 잘 안나온다 해도
자신이 되고자 하는 길을 두고 선택과목에서
점수 위주로 내신관리를 염두하기보다
대학입학 후, 공부를 위해 알아내고자
어려운 과목도 택하는 자세와
내신이 차근히 하락을 할 수는 있지만
급격한 변화로 과목당 점수가 
학년별로 요동치지 않기가 중요해보였더랍니다.



입시전문가의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조언.
작성 팁에 대한 설명뿐 아니라,
학교생활에서 각 학년별로 어떠한 포인트인지,
철학이 있는 풀어내는 방식 등의 윤곽 설명.
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님이라면 꼭 읽어봄직한
자녀교육서, <학년별 학생부>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