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어타운 ㅣ 베어타운 3부작 1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4월
평점 :
<오베라는 남자>이후로 만나오던 프레드릭 베크만의
모든 장편소설에서는 전체적으로 환한 분위기였더랍니다.
이번에는 묵직하게 정극으로 '공동체'를 생각해봅니다.
하키의 마을, 베어타운.
무거운 숲, 지는 것에 익숙치 않다며
승리를 위해 질주하는 청소년하키팀이 있습니다.
그리고, 스포츠란 그런 것..
무거움에 아드레날린으로 행복을 주기에
베어타운 사람들은 하키 하면 모든 걸 용서했죠.
그 청소년팀을 맡은 '페테르' 단장.
베어타운팀은 사실, 그렇게 강력하지 않았으나,
페테르 단장과 다비드 코치,
케빈, 벤이, 모모, 아맛..
강력한 아이들을 모아 팀은 점점 승승장구.
'하키'의 승리에 행복감만 있으면 좋으련만,
그 구성원들 간에도 각각 어두움이 있으니
재력이며 실력이 받쳐주기에
어두움이 없으리 싶던 '케빈'은
페테르 단장의 딸의 거부에도, 얼룩을 강하게 만들고.
페테르와 미라는 승리의 날,
딸에게 그러한 사고가 있을 줄은 꿈에도 몰랐겠죠.
"우리는 저들과 다르잖아.
우리는 베어타운의 곰이 아니잖아."
페테르의 딸, 미야.
주장인 케빈에 대한 신고를 하고보니,
온 곰들이 미야를 물어뜯으려 하나..
남동생 레오는 곰이 되지 않습니다.
공동체라는 것은 무엇인가
성폭행 사건을 두고, 온 마을의 움직임이란.
공동체란 무엇이던가, 물음이 나올 수 밖에요.
그것은, 우리가 선택한 것들의 총합.
그렇다면 그 '선택'은 '우리'의 각각이 이뤄내는 것.
공동체 전체의 입장이 그러저러 한 줄이 되더라도,
<베어타운>의 인물들의 각각을 들여다보면
쇠락하지만은 않았음을 알게 됩니다.
가슴에 곰을 품은 사람들의 이야기,
결국, 베어타운의 곰이 되어
또 다른 선택지를 만들어내는 인물들의 이야기.
책의 두깨만큼이나 무거움이 느껴지지만,
프레드릭 배크만의 새로움을 느끼게 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