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세어 보아요 마루벌의 좋은 그림책 12
안노 미츠마사 지음 / 마루벌 / 199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넘기면 숫자 0 이 나온다. 그림엔 눈 외에 아무것도 없다. 다음엔 숫자 1. 모두 하나다. 한편의 그림속엔 해도 구름도 눈덮인 나무도, 새도, 눈사람도, 집도, 피어오르는 연기 마저도 하나. 그 다음엔 숫자 2. 집 둘, 짐 실은 차 둘, 앙상한 나무 둘, 전나무 둘, 어른 둘, 뛰어가는 아이 둘, 토끼 둘. 뭐 그렇게...

하지만 이 책을 볼때마다 난 아이와 싸운다(?). 숫자 2 가 있는 장면을 보더라도 모든게 다 둘이 아니라는 것. 사람으로만 봐도 모두 넷인데, 아이둘. 어른둘. 이런식이 어딨냐는 것이다. 나무면 모두 넷인데, 전나무둘, 앙상한 나무둘 이런세기도 역시 이해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내가 말한다. (끼워맞추는 것 같아 어색하지만..)“종류가 같은 것끼리 세어야지. 나무중에서도 전나무랑 앙상한 나무랑 종류가 다르니, 서로 같은 종류끼리 세는 거야..”라고. 내 아이가 말한다. “그럼 집도 종류가 같아야 하는데 서로 전혀 다르게 생겼으면서 이건 왜 따로 세지 않고 같이 세어서 둘 이라고 하는거야?” .... 할말이 없다.

또하나. 내 아이 말에 따르면 2 라고 쓰인 곳에 강물은 왜 한 줄기 이며, 다리는 왜 하나냐는 것이다. 그것도 역시 듣다보니 일리있는 말. 내가 말했다. “음.. 그냥.. 그건 그렇구나 하고 보고.. 이 숫자 말야.. 수세기로 보지말고 달력으로로 보는건 어때? 숫자 2 는 2월이야. 3은 3월. 그러니까 3은 봐. 봄이쟎아..” 주의를 돌리려고 급하게 둘러댄 말인데, 정말 그랬다.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는 책이나, 아이의 시각에서의 본 것처럼 수에 맞춰 세는데만 집착하면 스트레스 받을 요인이 도사리고 있는 책이기도 하다. 뜻하는 바는 좋았으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엇이 될까요?
멜라니 월시 글 그림 / 시공주니어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주 재밌는 책이다. 플랩을 여닫으며 아이와 재밌는 맞추기 놀이를 하기에 제격이였다.

벽돌을 하나하나 쌓으면... (플랩열며) 집.
올챙이가 자라면.. 개구리
씨앗이 싹을 틔우면.. 꽃.
꼬물꼬물 애벌레가 자라면... 나비.

플랩을 열어봄은 그냥 물어보고 답하는 것보다 몇배의 책보는 기쁨을 안겨준다. 추측해서 답한 것을 수수께끼처럼, 보물상자 처럼 열어보고 그림을 보며 확인하는 재미는 아마도 플랩북의 묘미이며, 이를 즐겨보는 아이라면 충분히 그 재미를 알 것이다.

이 책이 그나마 용기를 주었다면.. 다른 내용으로 많은 상상의 질문들과 그에 따른 동원된 답들을 플랩으로 만들어 봄직하지 않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요? 베틀북 그림책 34
토니 로스 그림, 린제이 캠프 글, 창작집단 바리 옮김 / 베틀북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유아시절을 겪은 어느 부모든 아이의 질문들.. 그중에서도 가장 곤혹스런 왜~ 시리즈 질문에 난감해 하지 않았을까..

내 아이도 30개월 접어들면서 ~왜 그랬어요?.. 그건 왜요?.. 어떤~요? 등 집요하게 물어본 시기가 있었고, 6개월 동안은 그런 질문의 연속이였던 것 같다. 아무리 답해 줘도 같은 질문의 연속.. 연달아 다섯 번 이상을 같은 답을 해본 기억. 짜증은 치밀어 오르지만 의연하게 꾸준하게 대답해주었던 기억. 그만좀 물어보라고 소리지르고팠던 기억... 아 물론, 육아 경험담을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런 상황에 처해있는 부모라면 이 책을 보라. 그리고...

왜요? 라고 묻는 일이 주요 일과인 릴리와 그나마 매번 충실히 답하고자 노력하지만 슬슬 짜증이 나는 아빠. 하지만, 왜요? 라는 질문이 너무나 사랑스럽게 다가오게되는 그 황당 사건 - 외계인이 그들 앞에 나타나는 일- 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아이들의 반란같은 왜? 라는 질문들을 머리에서 열이나고 ,가슴이 부글부글 끓어 올라도, 짜증이 화산 폭발같이 막 터져나오려고 해도 다 받아주자. 왜냐..왜냐하면 호기심 덩어리인 아이의 '그 순간이' 이미 시간이 흐르고 하나씩 납득이 될 때가 오면 이젠 더 이상 물어보지 않는 조숙함에 예전의 그 왜요~ 시리즈의 그때가 무척이지 그리워질때가 올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럴드와 자주색 크레파스 해럴드 시리즈 1
크로켓 존슨 지음, 서애경 옮김 / 비룡소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속의 해럴드가 실제 TV프로그램에 등장하지 않았다면 내 아인 아마 이 책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을 것이다. 매체의 덕을 단단히 본 책 중의 하나다.

아무것도, 그야말로 하얀 백지와도 같은 아이의 머릿속과 마음에 하나둘 그려지는 꿈과 상상의 세계...

해럴드가 그려내는 것마다 현실이 되고 살아 움직인다. 크레파스 하나로 시공을 넘나드는 해럴드는 아이들의 동심의 본질이 아니겠는가.. 그것은...만약 이 동심을 해하는 욕심많은‘어른’이 이 크레파스를 훔쳤다면 그리고 그려본들 그건 그저 평범한 크레파스요, 그림에 지나지 않았을까...하는 것이다. 그런 순수한 동심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 바로 이 책이 부여 받은 특명이 아닐까...해럴드 그리고 자주색 크레파스를 통해 그런 동심을 알려주는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 개구리 빨간 개구리 벨 이마주 26
피에르 코뉘엘 글 그림, 김소희 옮김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다름은 겉모습이 아니라, 그 다름을 인정하지 못하는 것이 진정한 다름임을 이 책은 단순한 이야기로 풀어 갑니다. 옛날 우화에서 쉽게 찾을수 있는 이야기 같아 어른의 눈에선 특이할 것도 없거니와 의도된 듯한 밋밋한 느낌이였지만, 진흙을 발라 색깔이 없어진 개구리들이 힘겨루기를 한후 이긴팀과 진팀에 빨강과 파랑이 섞여 있는 것을 보고는 제 아이는 뭔가 심각하게 깨닫는 눈치입니다. 실은 단순함과 유치함에서 혹여 공감대를 얻는 것은 아닐지 적어도 아이들에게선 다시 생각해 볼 일이였지요. 개구리들이 극단적인 대립을 없애고 서로 공존하기 위해 몸에 빨강과 파랑을 얼룩덜룩 칠함으로써 서로를 이해하며 그러면서 같이 살아가는 것임을 아이도 알게된 것 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이기적이고 경쟁심이 유난히 많은 유아시기의 지금의 제 딸.. 조금이나마 나누고 어울려 지내는 법을 이해했음 하는 바램으로 결과적으로 좋은 동화책을 만난 셈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