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할아버지 ㅣ 비룡소의 그림동화 4
존 버닝햄 지음, 박상희 옮김 / 비룡소 / 1995년 9월
평점 :
할아버지와 손녀(손자)는 친구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건 아마도 비슷한점이 상당히 많기 때문이리라. 고집으로 똘똘뭉친 개인주의자들이랄까... 이 책이 그랬다. 둘은 모든 장면에서 하나의 일을 두고, 각자의 관심사에 대해서만 말할 뿐이다. 화단을 가꿀때도 할아버지는 분갈이를 하며, '이 씨앗들이 자라기에는 자리가 모자라겠는걸', 손녀는 '벌레들도 하늘나라에 가나요?' 하는식으로.. 손녀는 할아버지가 너무도 자기세계를 이해하지 못해 답답하기만 하다. 말 한마디로 서로 토라지기도하고, 모래사장에 놀러갈땐 좀 죽이 맞는가 싶더니 할아버지는 모래위에 자리를 펴자마자 잠이들고 손녀는 혼자 할아버지에게 재잘대는 또 그런 식이되고 만다.
하지만 손녀와 놀며 어릴적 추억에도 잠겨보며 동심으로 빠져드는 할아버지. 바로 어린 손녀가 있기에 가능한 것이니, 이둘의 관계는 참으로 불가분(?)의 관계 같기도 하다. 그러나... 그런 할아버지와의 시간도 이제는 소중한 추억으로 남아버린건, 할아버지의 빈 의자를 바라보는 손녀의 서글픈 얼굴에서 알 수 있음이다.
한편, 책의 마지막은 가슴한켠 아리한 슬픔을 만들어내지만, 아이에게 책 읽어주는 내내 엷은 미소도 떠올랐다. 내딸과 외할아버지의 해프닝때문이다. 가끔 아이의 외할아버지가 계신 곳으로 몇일 쉬러가면, 내딸은 할아버지와 금방 친해져 같이 놀지만 이내 토라져있다...내용은 그랬다. 손녀는 할아버지에게 '할아버지, 송아지돼봐.(송아지흉내를 말함)' 하지만 할아버지는 그 소리가 들리지 않는것인지 무슨말인지 이해를 못하는것인지 그냥 손녀를 웃으며 바라보신다. 아이는 반응이 없는 할아버지에게 삐졌다. 그래서 할아버지에게 등을 돌려 씩씩거리고 있다. 후후. 이 책은 그때의 재밌는 광경을 떠오르게해 피식..웃음을 선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