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얘, 너 힘들었니?"

순간 김지영 씨의 두 볼에 사르르 홍조가 돌더니 표정이 부드러워지고 눈빛은 따뜻해졌다. 정대현 씨는 불안했다. 하지만 화제를 돌리거나 아내를 끌어낼 틈도 없이 김지영 씨가 대답했다.

"아이고 사부인, 사실 우리 지영이 명절마다 몸살이에요." 잠시 아무도 숨을 쉬지 않았다. 거대한 빙하 위에 온 가족이 앉아 있는 것 같았다. 정수현 씨가 길게 한숨을 쉬었는데 찬 입김이 나와 하얗게 흩어졌다.

 

「82년생 김지영」中 17p.

 

책을 덮고 난 뒤 가장 먼저 들었던 감상은 '독특했고, 공감된다'였다. 흔히 생각하는 소설의 문체와는 다르게, 르포나 보고서를 읽는 듯한 문체에 사회통계자료와 같은 주석들로 한 권의 소설을 읽고 있다라는 생각이 들지 않았고, 그만큼 가독성도 뛰어났다. 그리고  특별하고 뛰어난 삶을 살아온 주인공의 이야기가 아닌 너무도 현실적이고 사실적인 이야기였기 때문에 누구든 공감할 수 밖에 없었을 것 같고, 그러했기에 특히나 많은 여성들에게 지지를 받게 된 책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주인공 김지영씨라는 인물은 한 인격체로 태어나서 자신이 가진 고유의 개성대로 원하는 삶을 살아갔다 라기보다는 그냥 그 시대의 평균적인 삶을 살았던 사람들, 아니 남성을 제외한 이들의 표상이 된 인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다시 말하자면 82년생 김지영이라는 이름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서 여자라는 이유로 자신의 이름은 잊은채 살아가고 있는 거의 모든 여성들을 대표하고 있는 현실의 이야기가 아닐까.

 

김지영 씨가 회사를 그만둔 2014년, 대한민국 기혼 여성 다섯 명 중 한 명은 결혼, 임신, 출산, 어린 자녀의 육아와 교육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었다.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출산기 전후로 현저히 낮아지는데, 20~29세 여성의 63.8퍼센트가 경제활동에 참가하다가 30~39세에는 58퍼센트로 하락하고 40대부터 다시 66.7퍼센트로 증가한다.

 

「82년생 김지영」中 145~146p.

 

 사실 거창하게 한 시대를 대표하는 인물이고 많은 여성들의 표상이라고 칭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주인공 김지영씨가 그만큼 특별한 인생을 살아온 건 아니다. 엄청난 재난과 고통을 겪고, 말 못할 슬픔과 기구한 사연을 가진 인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단지 한국에서 여자라는 이름으로 태어나서 살아가고 있는, 여성들이라면 누구나 겪은 일상적이고 평범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인물일 뿐이다. 딸이기에, 여성이기에 느꼈을 감정과 소외감을 느끼며, 남녀차별이 당연시 된 시대를 살아온 그저 그런 지극히 평범한 인물인 것이다.

 

지금은 세월이 많이 흘렀다. 예전보다 많은 사람들의 인식도 달라졌고, 여권 신장도 높아졌기 때문에 여성 대통령도 나오는 세상이 되지 않았냐고 말하고 있다. 그렇기에 현시대를 살고 있는 이들에겐 82년생 김지영씨의 삶이 공감 되지 않을 수도 있다.하지만 막상 사회라는 곳에 나가보면 알겠지만, 크게 달라진 건 없다. 지금도 '김치녀','된장녀','맘충'이라 불리며 여성혐오와 관려된 일들이나 범죄가 지금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김지영 그녀가 살았던 삶이나 지금의 내가 살아가는 삶이나.. 그래도 앞으로 살아가야 할 여성이라는 이름의 인격체들을 위해선 지금과는 더 달려져야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여성'이라는 구분이 없는 세상에서 살길 바란다면.. 그러기 위해선  이제는 공감만 할게 아니라 더 나아진 미래를 위해 먼저 행동을 해야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