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보는 유목민 여인]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처음 보는 유목민 여인 - 알타이 걸어본다 6
배수아 지음 / 난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것은 여행기가 아니다.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이것은 여행기라고 불리기에는 어떤 요소가 너무 부족하거나 혹은 너무 넘치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것은 결코 여행과 함께 시작하거나 끝나지 않는다. 나는 여행을 떠났지만 어떤 의미에서 그것은 여행이 아니라 나로부터의 도피였으며, 특별히 흥미진진하거나 남다른 사건이나 경험이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처음 보는 유목민 여인」中 11p.

 

여행기를 읽었다. 그런데 너무나도 이상하다. 여행기를 읽고 나면 언젠가는 꼭 여긴 가봐야지~!! 하고선 부푼 기대와 상상을 펼치기 마련인데... 이곳으로 여행을 가고싶다는 욕망이 전혀 생기지 않는다. 어쩌면 나는 누구나 한번쯤을 들어봤을 법한 이름난 관광지를 관광책자와 지도를 살피며 그곳의 멋진 배경과 풍경들을 카메라에 담는 그런 흔한 여행자이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여행책자의 홍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요즘, 그 흔하디 흔한 여행책자도 찾기 힘든 곳, 몽골. 거기에서도 잘 들어보지도 못했던 곳 서북부 국경지대인 알타이와 수도인 울란바토르를 여행한 독특한 여행자. 소설가이자 번역가인 배수아는 어느날 독일어로 글을 쓰는 몽골 소설가 갈잔 치낙의 작품 '귀향'을 선물을 받게 되었고, 단숨에 읽게 된 그 책으로 스스로 이유를 잘 알지도 못한 채 갈잔 치낙을 만나러 가야겠다는 막연한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곤 도저히 저항하지 못할 운명의 힘에 이끌려 몽골을 찾게 된다.

 

여기서는 세상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전혀 알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늘이 도대체 며칠인지, 무슨 요일인지 알 도리가 없었고, 사실상 알 필요도 없었다. 그리고 ㄸ다른 사실도 깨달았다. 이곳에서 나는 내가 누구인지조차 거의 절반쯤은 정말로 잊어버리고 있었음을. 그건 예상치 못하게 아주 행복한 기분이었다.

 

「처음 보는 유목민 여인」中 138~139p.

 

운명의 힘에 이끌려 가게된 곳, 몽골. 이곳에서 겪은 특별히 흥미로운 사건들이 있는 여행기가 아니라 작가 본인이 직접 유목인이 되어 체험하고 그린 삶의 이야기 같았다. 몽골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가 투박하고 황량함이었다면, 그녀가 쓴 글에서는  그런 황량함보다는 사람냄새가 났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몽골 평원에서 불어오는 혹독한 바람을 견디며 유르테에 머물고, 야크똥을 주워 태우며 온기를 더하고, 옷에서는 냄새가 나는데도 불구하고 빨래도 않고 씻기도 힘든. 진정 여행이라고 하기에는 뭔가 비현실 적인.. 자연에 동화되어 자연인의 모습과 같은 그런 생활. 흔한 여행자들은 전혀 상상도 하지 못하는 여행일테지.. 

 

책의 곳곳에는 마치 형관펜으로 줄을 치듯 강조된 부분들이 있다. 작가 자신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픈 부분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읽는내내 은근히 거슬렸다. 뭔가 그 부분을 자꾸만 강조하는 것 같아서 오히려 숨이 막히는 듯한 느낌, 그리고 자꾸만 숨은 의미를 찾으려고 해서 맘에 들지 않았다. 그리고 솔직히 말하면 전혀 재미있지 않는 여행 에세이였던건 사실이다. 하지만 꾸며쓰려고 하지 않았기에 오히려 읽기에 수월했고, 뭔가 더 자연스러웠고, 사실 작가에 대해선 잘 모르지만 그녀 다웠다라는 느낌을 받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