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와 앨리스 - Hana & Alic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하나, 앨리스, 첫사랑, 거짓말, 이별, 우정, 타로카드, 발레, 엄마, 아빠, 워 아이니...
인테리어 소품샵의 귀엽고 예쁜 소품들처럼 영화의 요소들이 얼마나 예쁘고 귀여운지 모른다. - 비록 흔하디 흔한 설정에, 자칫 지겹게 느껴질 수도 있는 전개였지만 - 하지만 그 중에서도 제일 사랑스러웠던 건, "앨리스"역의 아오이 유우. 거짓말이 들켰을 때 코를 매만지는 장면이나 웃는 얼굴이 참 예쁘다.

 

 * 아오이 유우의 평소 사진들도 어찌나 "앨리스"적인지(영화의 내용이 실제로 있을 법한 이야기라서 그런가), "하나와 앨리스"를 실제 자신이 데뷔전 겪은 이야기라고 해도 믿을 것 같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 - Memories of Matsuko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상처받고 또다시 상처받을 지라도, 사랑을 갈망하는 마츠코. 아마 그녀가 동화 속에 있었다면 이야기는 180도 달라졌을 테지만, 애석하게도 그녀가 살고 있는 곳은 가끔은 지나치게 잔인한 현실이었다. 그 곳에선 장난이 장난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진심이 진심으로 통하지 않는다. 그러나 마츠코는 포기하지 않고 노래한다. 언제나 한결같은 어린 시절의 그 순수한 마음으로, 마지막까지 반짝이면서. 
 <Moulin Rouge>에서 이런 대사가 나온다.
"살면서 배우게 될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랑'그 자체와 사랑받는 것이다."
이 말을 통해서 보면 마츠코야 말로 우리가 말하는 "진정한 삶"에 가장 가까이 날아갔던 이가 아닐까.  

* "쇼(에이타)"가 눈에 익는다 했더니, <노다메 칸타빌레>의 "미네"였잖아!!! "음악은 역시... 락이지!"하던 모습이 떠올라 놀래버렸다. 아아, 역시 배우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00 - 300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친절한 영화다.
우선 갈등의 구조가 단순하고, 뒷 일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또한 관객의 뒤통수를 치는 캐릭터가 없다는 사실에서 그렇다. 배신자는 자신이 배신자라는 암시를 폴폴 풍기며, 위험한 인물은 "나 위험한 인물이야~"하고 얼굴에 써 붙이고 다닌다. - 나쁜 의미가 아니다. -

 게다가 전투 장면 역시 움직이는 그림책을 보듯 천천히 진행된다. 300명 병사들의 박력있고 빠른, 거기에 파괴력이 가미된 액션을 상상했다면 실망할 정도로. 그러나 나는 일부 사람들이 답답하게 느끼는 것처럼 불만스럽지는 않았다.

 

 어쨌든 영화는 역사의 한 페이지를 차근차근 담백하게 설명해주었다.

 

*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영화 처음에 나왔던 "레오니다스"의 소년기를 다룬 장면들이다. 시작이 너무 강렬해서 오히려 그 뒷부분의 이야기들이 시시하게 느껴질 정도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반 올마이티 - Evan Almighty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딱 한마디 하자면, "내 시간 돌려줘."가 되겠다.

세상에- 어쩌면 이렇게 억지스러울 수가 있을까. 영화는 <노아와 방주>와 <세상을 바꾸고 싶은 젊은 하원의원>을 섞는다는 것은 바보같은 짓으로 만들어 버렸다. 도대체가 개연성이라고는 눈 씻고 찾아봐도 찾아 볼 수 없는 영화. - 포스터만 보고 "에반"이란 이름을 가진 동물(다람쥐같이 귀여운...)이 신의 능력을 갖게 되서 벌어지는 헤프닝으로 생각했었는데, 이건 뭐 기가 차서 할 말도 없게 만든다. -

 

* 도대체 감독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브루스 올마이티>는 재밌게 봤었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오쿠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영화화된 오오쿠는 여전히 신비스럽고 화려했으나, 정지되어 있었다. 전체 줄거리 역시 여느 때와 다름없는 여인들의 싸움이었으나 어쩐지 김이 빠진 느낌이었다. 남녀간의 일이야 누구도 알 수 없는 것이니 만큼 메지마의 잔잔한 사랑이야 이해한다고 쳐도, 전반적인 모든 인물이 힘이 떨어지는 느낌이었다.
메지마의 어린 시절은 <권력의 난>에서의 후코와 흡사한 부분이 있으나 그 고된 역경을 이겨내고 마침내 최고의 자리에 오른 후코와 비할 바는 못된다. 이렇듯 드라마 시리즈와 비슷비슷하지만 드라마의 캐릭터가 워낙 강렬해서 영화의 캐릭터는 안개에 휩싸인 듯 희미하기만 했다.

확실히 영화는 아쉬움이 컸지만 어린 쇼군은 귀여웠고 나카마 유키에는 충분히 아름다웠으며, 오랫만에 본 아사노 유코와 마츠시타 유키 및 감초 삼인방도 반가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