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 그 가슴 뛰는 마법 - 종교, 신화, 미신에 속지 말라! 현실을 직시하라!
리처드 도킨스 지음, 김명남 옮김, 데이브 매킨 그림 / 김영사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이 세상과 우주에 일어나는 일들을 몇가지 주제로 가져와 관련 신화와 미스터리를 먼저 설명한 후에 과학적으로 다시 한번 접근하여 현상들과 사건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구조 자체도 굉장히 흥미로웠으나 또 좋은 점은 마치 잡지를 보듯이 삽화들이 굉장히 다채롭고 섬세하여서 머뭇거리는 부분 없이 매끄럽게 읽도록 도와주었다.

 읽으면서 칼 세이건이 계속 떠올랐다. 틈 하나 없는 빽빽하고 건조한 과학이 아닌, 과학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의 미신과 신화를 질책함이 아닌 인간적으로 따뜻하게 바라보며 찰지고 적절한 비유를 통해서 최대한 쉽고 친근감 있게 과학을 전달하려는 점이 감동이었다. 실제로 리처드 도킨스를 생물학자로만 알고 있었는데 이 책이 과학의 대중화를 위한 첫번째 책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넓은 범위의 과학을 다룬다.

 공학도인 나에게 사실 이 책의 전반적인 내용은 기초과학으로서 이미 배웠거나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들이었다. 그래서 더욱 재미있었다! 하루가 지나기도 전에 신나게 읽어나갔다. 내가 알던 지식들에 양분을 주어 더욱 토실토실 살이 붙은 기분이 든다. 과학을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면, 하나하나씩 소화하는 데 약간의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천천히 소화한다면 무리가 없으리라 생각된다.

 추천한다. 올해의 베스트 책 중에 손꼽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태어나기 전 나의 이야기
카타리나 베스트레 지음, 린네아 베스트레 그림, 조은영 옮김 / 김영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능 볼 때 공부했던 생물2 과목이 이런 식으로 도움이 되다니.(평생 쓸 일이 없을 것이라 생각했다) 이 책은 이 책의 제목 말 그대로이다. 내가 태어나기 전의 이야기! 정자와 난자가 만난 순간부터 세상 밖으로 나올 때까지의 성장 과정과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낱낱이 파헤친다. , 언젠가 한번씩 주워들은 내용들을 이렇게 짜깁기 해서 읽으니 정말 재미있었다.

 생물학에 기본 베이스가 있으면 더할 나위없이 재미있게 읽을 책이다! 그러나 전혀 베이스가 없으면 조금 벅찰 수는 있으나 루즈할 때 즈음마다 나오는 흥미로운 과학적 연구들이 집중력을 확 다시 모아준다.

 이 책의 또 정말 좋았던 점은 생명을 탄생을 신비롭고 경이로운하늘의 선물이 아닌 신기하고 과학적인 매커니즘의 생물학적 사건으로 바라본다는 점이다. , 언제나 세뇌 당해 온 가치관의 판단을 내려놓고 사건 그 자체를 깔끔하게 다룬다는 점이 무척 좋았다.

 읽다 보니 새로 알게 되는 사실들이 많은 것도 좋았는데 그 내용이 흥미롭기까지 하니 많은 것을 얻어가는 책이었다! 인간의 몸은 정말 신기하다. 그 복잡한 몸과 뇌가 자동으로 구축되어 가는 과정을 보면 과학은 생명이 돌아가는 매커니즘에서 배울 점이 아직 무궁무진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소년을 위한 시간의 역사 - 스티븐 호킹의
스티븐 호킹 지음, 전대호 옮김, 이명균 감수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우주병이 도져서 우주 관련 서적을 읽고 있는데 느낀 점이 있다. 우주 정말 어렵다. 물리 법칙은 물론이고 물리법칙을 적용할 원소 성분 분석을 위해 화학적 지식도 필요하며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수학 계산까지 요구된다 ^^ ! 게다가 미지의 우주에 대한 경외심과 상상력은 덤이다 ^^ 우리 과 교수님께서 상담할 적에 항공우주 분야를 목표로 하지 말고 기계공학의 어느 분야든 깊게 파면 항공우주든 어디든 연관이 없을 수 없다고 하셨는데 팩트체크 완료.

 어쨌거나 고 스티븐 호킹 박사님은 역시나 정말 천재적이고 다 이해하셨기에 저렇게 농담도 섞어가면서 강의도 하고 책도 쓰신 모양이다.

 말하자면 시간의 역사의 시간이란 역사의 흐름이기 때문에 이 책은 우주의 역사에 대한 역사를 기술한다. 우주의 역사에 대하여 지난 과학자들이 어떠한 이론을 내고 연구를 했는지 밝히고 이에 대한 호킹 박사의 의견도 들어볼 수 있어서 재미있게 읽었다.

 청소년을 위한시간의 역사이지만 뼛속이과인 내가 봐도 마냥 쉽지만은 않다. 최대한 전문용어와 수식을 줄이고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 노력하는 느낌이 들었다.(느낌만,,)

 다시 한번 말하지만 우주의 먼지만한 인간으로서 우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만물에 대한 관심과 지식부터 쌓아야 조금이라도 가까워질 수 있겠다는 결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