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벼운 터치? 현실 파노라마 긴호흡으로!
[한겨레 2004-08-08 20:48]

[한겨레] 박건웅씨의 장편만화 맥잇기
2004년 한국의 만화팬들은 에세이툰(에세이 형식 만화)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하지만 올 상반기 출간된 장편 만화는 손으로 꼽힐 정도다. 그것도 대개 만화 전문 출판사인 〈청년사〉의 시리즈물로 대변되는 중견 이상 작가들의 복간 작품이다. 급기야 대형서점은 애초 에세이툰 신간을 들일 때 10~20부만 보내달라고 요청할 지경이다. 책종이 많아서다. 이전에는 권당 30~50부 정도였다. 젊은 만화가들 모두 에세이툰의 범람에 휩쓸린 걸까 최근 출간된, 작가의 경력만큼이나 짧은 제목의 〈꽃〉은 “그게 아니올시다!”라고 외친다.

4부작 〈꽃〉을 그린 박건웅(32·사진)씨는 스스로 말하는 ‘외골수’, 만화평론가 백정숙씨가 말하는 ‘별종’ 작가다. 1200장의 〈꽃〉 원고를 5년의 품을 들여 갈무리했다. 장편의 대가인 이두호 화백이 가장 긴 시간을 들여 만든 〈임꺽정〉(5년 3개월가량)에 버금간다. 프로 만화계에 데뷔한 지 고작 2년. 그러나 장편 만화에 대한 철학은 누구보다 옹골차다. “집요하게 파고들어 파란만장한 인간의 이야기를 엄숙하게 그리는 게 나한테 맞다. 에세이툰 등의 유행에 휩쓸릴 이유가 없다. 이 신념은 앞으로도 변치 않을 것이다.” 당연히 책 내용도 만만치 않다. 장기수로 상징되는 우리 근현대사의 그늘에 대한 나직한 이야기다. 시대를 넘으며 고통 받은 장기수 쟁초의 가슴 속에 핀 빨간 꽃송이처럼 그 그늘은 여전히 선명하다.

근현대사 그늘 그린 ‘꽃’
5년 품들여 1200여장 갈무리
“칸과칸 사이 못담을게 없는 우주”
마라톤하듯 포기 유혹 넘겨

대학에서 서양화를 전공한 박씨는 군 복무 중에 〈꽃〉의 시나리오를 완성했고, 제대한 1997년 겨울부터 그림을 그린 다섯해 동안 하루 평균 7시간을 이 작품에만 쏟아부었다. “만화를 하다보니 칸과 칸 사이에 하나의 우주가 담겨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못 담을 게 없는 거대한 매체란 느낌과 함께 만화가 새롭게 보이기 시작했다.” 물론 한달음에 긴 여정을 마친 건 아니다. 경제적 압박뿐만 아니라 ‘마라톤 게임’은 언제나 고되다. 작업비를 마련하기 위해 한 달 이상 작업을 멈춘 적도 있었다. “술집 벽화, 환경미화원의 임시거처에 페인트 그림을 그리기”도 한 박씨는 “남들의 ‘삶’을 엿듣고 호흡도 고를 수 있어 좋았다”며 웃는다. 그만두고 싶을 때마다 떠올린 작업 노트. 복무 중 가슴에 낙인 찍듯 적은 ‘이 땅의 현실을 아름답게 그릴 겁니다’란 글귀는 작가의 올바른 현실 인식과 만화의 창조적 실험이라는 화두를 붙잡아준다. 덕분에 〈꽃〉 1부가 ‘2000년 서울애니메이션센터의 제작지원 공모작’으로 뽑히기도 했다.

백정숙씨는 “백성민씨가 〈장길산〉을 연재 없이 펴냈을 때 괴짜 정도는 아니었지만 지금 박 작가는 괴짜가 되는 시대”라며 “서사적 힘을 갖춘 만화들이 함께 발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씨는 현재 노근리 사건을 주제로 한 장편을 기획 중이다. 이번에는 수묵화 형식으로 한지에 담아낼 계획이다. 2년을 예정한다. “작가는 새로운 것을 끊임없이 개척해 나가는 자”라 이름하며 “조건과 상황에 얽매이지 않는, 진정 ‘작가’라는 칭호가 어울리는 이가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 한겨레(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김혜린 (‘비천무’ ‘테르미도르’ ‘아라크노아’ ‘불의 검’ ‘광야’)

글. 만화규장각 2000. 01. 01

김혜린은 1962년 경남 창녕에서 태어났다. 83년 『북해의 별』로 데뷔했는데, 만화가 생활 10년이 넘는 중견작가임에도 불구하고 장편은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힌다. 그 작품 중 버릴 것이 하나도 없다는 점에서 그의 완벽주의를 발견할 수 있다.

그의 작품은 『북해의 별』, 『비천무』, 『테르미도르』, 『불의 검』, 『광야』 등 대개 사극의 형태를 취하지만, 거대한 흐름 속에서도 인물의 심리가 치밀하고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그의 작품을 관통하는 가장 큰 주제는 바로 ‘인간’이며, 모든 작품에서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이 엿보인다. 그것은 서구에 의해 왜곡된 ‘휴머니즘’과는 분명히 다르며, 더 나을 것도 모자랄 것도 없는 ‘우리들의 이야기’이다.『불의 검』 서문에서 작가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매일 온갖 잡다한 일속에 시달리는 사람들에게 이런 만화가 어떤 의미일지는 모르겠지만, 근본적으로 사람살이의 喜怒哀樂이란 몇천 년 전이나 지금이나 혹은 미래나 모두 비슷한 것이 아닐까…?“


그의 작품에는 모든 인물이 살아 있다. 주인공만 부각되는 게 아니라 독특한 개성과 나름대로의 목소리를 가지는 조연들이 대거 등장한다.
더 나아가, 그는 휘두르는 칼날에 죽어 넘어가는 엑스트라를 그릴 때도 그 사람이 고향에 처자식을 두고 온 ‘인간’임을 생각한다고 한다. 그래서 그가 제일 싫어하는 말 중에 하나가 “이 벌레만도 못한 놈들”이나 “이 짐승만도 못한 놈들”이다. 그의 작품엔 악인이 없다. 그는 이분법적인 선/악이나 흑/백의 극명한 대립을 배제하며, 악인에게도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음을, 그에 따르는 괴로움과 번민이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독자들은 악역에 속하는 『북해의 별』 비요른이나 『불의 검』 수하이 바토르에게도 연민을 품게 된다.


김혜린은 평화로운 시대보다는 ‘역사적인 변환기’에 놓여진 인물이 겪을 수밖에 없는 여러 경험(고생!)과 고민들을 실재감 있게 보여주려고 노력한다. 『북해의 별』은 가상의 왕국 보드니아에서 벌어진 시민혁명, 『비천무』는 중국의 원?명 교체기, 『테르미도르』는 프랑스 혁명, 『불의 검』은 청동기에서 철기로 넘어가는 시대에 아무르와 카르마키 간의 전쟁을 다루고 있으며, 최신작 [광야]는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그는 역사를 좋아한다. 역사를 보면 ‘내가 하늘에서 뚝 떨어져 사는 건 아니구나’라는 생각이 든다고 한다. 그래서 그것을 가장 극명하게
드러내주는 장치로 ‘역사적인 변환기’를 도입한다. 그리고 역사적인 격랑을 헤쳐나가는 주인공들을 통해 ‘삶이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그는 아직도 그 답을 찾고 있는 듯하다.


한편, 공간적인 배경은 스칸디나비아 반도(『북해의 별』)에서 출발해 중국 대륙(『비천무』), 만주 벌판(『불의 검』)을 거쳐 한반도(광야)로 귀착되었다. 서양에서 동양으로, 특히 우리 민족에게로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작가는 민족주의적인 입장이 아니라 자신의 욕구를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상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닌가 싶어요. 내가 그려서 좋고 그냥 편한 것. (중략) 욕구가 자연스럽게 흘러온 거고, 맞는 옷을 찾는 거니까. 내가 그려서 더 좋은 쪽을 하다 보니까 그렇게 되는 거죠. 불편하지만 저 옷이 필요해서 입어야겠다 이건 아니구요.”


그의 캐릭터는 조금씩 ‘성장’하고 있다. 『북해의 별』에서는 남자 주인공 유리핀 멤피스가 완벽한 영웅상을 보여주는 데 반해, 여자 주인공 에델라이드는 가련하고 순종적인 여성상을 보여줬다. 하지만 『비천무』, 『테르미도르』,『불의 검』을 거치면서 남자 주인공은 좀 더 인간적인 면모를 띄면서 부드러운(때로는 유약한) 심성으로 바뀌어갔고, 여자 주인공은 훨씬 더 당차고 자의식이 강한 쪽으로 변모되었다. 또한, 소녀 취향의 스토리나 캐릭터가 확실하게 ‘성인 취향’의 스토리나 캐릭터로 성장했음을 주목할 만하다. 그는 ‘성장’하고 있으며, ‘균형’을 잡아가고 있다.


http://www.kcomics.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박연

본 명 : 박신애
데뷔작 : ‘환상의 폴로네이즈’ (1980년, 진송출판사에서 단행본 발행)
대표작 : ‘발바닥만큼 한 이야기’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 ‘넝쿨이와 작은 친구들’ 등

내 가족, 내 친구, 내 후배, 내 친척들, 특히 자기 자녀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했으면 합니다. 만화는 창작물(아름다운)입니다. 너무 경제성이나 상품성에 물들지 않은 순수함이 빛을 발하는 작품들을 많이 만들어냅시다. 만화는 절대 쓰레기통에 버려질 저급한 문화찌꺼기가 아니라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깨달을 수 있게 힘써야겠습니다.

작가수업과정
습작처럼 그려 본 졸작이 바로 출판되는 행운(?)을 누렸음

작 품
△ 1980년 - 1981년 진송출판사에서 단행본 ‘환상의 폴로네이즈’ 발행
△ 1981년 - 1983년 발표 : 샤르메’ ‘비창’ ‘타인의 초상’
△ 1985년 ‘계곡의 파라다이스’
△ ‘발바닥만큼 한 이야기’ : 1988년 - 1993년 르네상스 연재
△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 : 1990년 - 1996년 나나
△ ‘또정이와 뚜박이’ 등 단편 : 1989년 - 1994년 댕기
△ ‘혼’ : 1995 - 1996년 칼라
△ ‘넝쿨이와 작은 친구들’ : 1998년부터 웅진
△ ‘보리의 그림일기’ 등 : 1998년부터 대교
△ ‘푸른 삼각형’, ‘해피 데이’ : 2000년 - 2001년 어린이동산 연재
△ 2001년 환경잡지 한탄강에 ‘강산에 단비가...’ 연재 등

현재 만화잡지 '허브'에 들꽃이야기 연재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loser to One

From a fickering light
On a cold moonless night
A spark has grown into flame
Just to call out your name
Turns the darkness bright

And when everything seemed
To be only a dream
You whispered and said "it's real"
Tell the world how we feel
Sharing love so right

Never too late
Never too young
To find what your heart has been seeking
This is our new day - no more fears
Now we are

Closer - and growing ever
Closer - and we have only begun
Closer - to one

With our eyes open wide
Having nothing to hide
We walk each day hand-in-hand
No mistake where we stand
Always side-by-side

Never too old
Never too soon
To find life's most beautiful treasure
No turning back now
No regrets
For we are

Closer - and growing ever
Closer - with every touch we are
Closer - to one
Closer

Shing - love holds the key
To finding - sweet destiny
You and me
More and more we just goota be

Closer - and growing ever
Closer - to have you here
Next to me
Destiny
More and more we just gotta b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풀벌레 소리가 나는 여름밤의 야외무대
토요문화광장에서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보자



유럽과 프랑스를 오가며 활약을 하고 있는 Jazz Vocalist 나윤선.
이번 공연은 상반기를 결산하고 3개월간 유럽투어를 위해 출국하기 전 그녀를 볼 수 있는 마지막 무대이다.

관람료 :  무료 (우천시 공연없음)
공연기간 :  2004-08-07
공연시간 :  오후 7시 30분
문의전화 :  02-2280-4115~6(고객지원센터)
장소 :  국립극장 문화광장 

- 국립극장 홈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