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원 삼대
황석영 지음 / 창비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석영 작가의 신간 소설 소식이 들렸다.

얼마만이지?

​20년도 훨씬 전부터 나는 황석영 작가의 팬이다. 팬이라고 해도 펜레터 한 장 써본 적 없지만 적어도 그의 책은 꾸준히 사고 읽었다. 지금도 내 서가의 한 켠은 황석영이라는 이름들로 이루어져 있다.

​언젠가부터 작가의 신간 소식에 심드렁해졌다. 아마도 내가 젊은 시절만큼 문학에 두근거리지 않게 된 탓이 크다. 직업의 영향으로 많이 읽는 분야도 달라지고 자연스럽게 취향도 바뀌었다. 황석영이라는 이름 세 글자에 예전만큼 가슴이 설레지 않았다.

​그럼에도 <철도원 삼대>의 소식을 접했을 때 주저없이 서평단에 지원한 것은 설렘보다는 아마도 믿음 때문이다. 최근에는 내 안에 소위 ‘믿고 보는 작가’ 층이 빈약해졌다. 좋다는 요즘 작가들 책을 읽어도 그뿐, 예전처럼 한 작가를 샅샅이 파고드는 편력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철도원 삼대>를 만난 날, 나는 낡은 편력의 먼지를 털어내며 은근한 벅참과 기쁨을 누렸다.



<철도원 삼대>는 가제본판으로 왔다.

서평단에게 배포용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가제본인 건 별로 서운하지 않은데 책이 마치 잘린 생선토막처럼 몸통, 꼬리 없는 상태인 것이 당황스럽다(총 620쪽 중 222쪽까지 제본되어 있다). 그러니까 이야기의 초중반까지만 읽고 서평을 써야 한다는 것인가? 요즘은 서평을 그렇게 쓰는 게 트렌드인가? 어떻게 해야하지? 심경이 복잡해졌다. 어쨌든 읽는 수밖에.

​<철도원 3대>의 주인공 이진오는 해고노동자다. 부당해고에 저항하기 위해 그는 굴뚝으로 올라가 농성을 시작했다. 작가가 본문에 읊은 것처럼, 참 이상하게도 고공농성이라는 것이 이제 한 번 올라가면 죽이 되든 밥이 되든 일 년은 기본인 상황이다. 투신의 직전, 그 마지노선에 진지를 쌓고 모 아니면 도의 방식으로 싸우는 게 애초에 고공농성의 의미일 텐데, 우리 사회는 언제부터 이렇게 무디어진 것인지. 작가는 드러내놓고 의도적이라는 듯 이런 부지불식간의 아이러니를 건조하게 써내려간다. 망루 생활자가 느끼기에 굴뚝 꼭대기의 망루를 둘러친 난간이 망루와 허공의 경계로서 영 미덥지않듯, 이야기 속에서 현실과 꿈의 경계와 일상과 비일상의 경계는 내내 모호하다.

​그렇게 진오는현실에서 꿈으로 자각에서 몽환으로, 터무니없게도 아무런 걸림돌 없이 이행하고 그 상태로 어린 시절의 진오에서 아버지 이지산, 할아버지 이일철, 그리고 큰할아버지 이백만에 이르기까지 화려한 서사의 종단을 보여준다. 이쯤에서, 역시 황석영이다, 싶다. 3대도 아니고 4대를, 한일합병부터 현재까지, 말하자면 국토수탈과 분단, 이념전쟁과 계급투쟁으로 점철된 조선반도의 근현대사라는 늪지대를 아무런 저항 없이 자유롭게 유영하는 내공이, 황석영이라는 세 글자를 저절로 떠올리게 만든다. 황석영의 문학은 그대로 비극적인 민족사를 비추는 거울이며 나아가 황석영이라는 사람, 그 자체가 우리 현대사의 상징적인 존재가 되었다.

​<철도원 삼대>에서 주목할만 한 작가의 시도를 꼽는다면 치밀해진 여성서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야기를 끝까지 읽지 못해 단언할 수는 없지만, 이 이야기는 3대에 걸친 일가족 남성 구성원들을 주요 인물로 내세웠을 뿐, 기실은 그들의 아내들, 즉 영등포 버드나무집 이씨네 일가의 여자들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기골이 장대하고 천하장사였던, 요절했지만 수호신처럼 산자 앞에 계속 나타난 주안댁, 눈앞에 있는 사람의 운명과 귀신을 알아본 신금이, 억척과 수완으로 가세를 지탱해왔으며, 망루에 올라간 아들에게 간단히 내려올 생각 말라고 기합을 넣어주는 배포의 소유자 윤복례. 작가의 의도라고 생각하지만, 묘사에 있어서 다소 외관과 행적이 모호한 남성 인물들에 비해 여성 인물들에 대한 서술은 매우 흥미롭고 찰지게 착착 붙어 독자를 이야기로 빨아들인다.

​가제본판은 일제시대의 노동쟁의 부근에서 끊긴다. 왜정 때 ‘주의자’로 살다가 옥중의 이슬로 스러진 진오의 작은 할아버지 이야기다. 아직 할아버지 한쇠와 아버지 지산의 이야기는 본격적으로 시작되지도 않았다. 그러니 나는 서평 쓰기를 이쯤에서 그만 두고, 미완성으로 남겨둔 채 본책을 사러 갈 것이다. 한 가족의 내밀한 역사를 들여다보기 시작했으면 끝까지 따라가는 게 예의일 터이다. 그들의 가족사, 사회사의 연장선상에서 살아가고 있는 오늘날의 우리는 그렇게 역사 속 타자들과 연결된다.



"철도는 조선 백성들의 피와 눈물로 맹글어진 거다." - P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