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떡 건축 - 회색 도시의 미래
황두진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때부터 20년 넘게 살던 동네는 한창 재개발 중이다. 학교로 이어지는 조그만 골목길들은 사라지고 아파트가 들어섰다. 예전에는 자유롭게 다녔던 길인데 지금은 울타리를 넘어서 아파트 동 사이사이로 걸어가야 한다. 골목길도 잃었고, 추억도 지워졌다. 비단 내가 살고 있는 동네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여기저기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생활의 편의를 떠나서 과연 이런 도시가 아름다운가에 대한 의문이 있었다. 한편 지금은 출퇴근이 문제다. 서울 직장으로 오고 가는데 왕복 4시간이 걸린다. 매일 가족들보다 일찍 일어나야 하고,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릴 수 없다는 것이 아쉽다. 이 책은 이런 고민들을 공유하고 있다. 그래서 더 관심 깊게 읽었다.


한 사회가 그 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가장 확실하게 높여줄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출퇴근에 걸리는 시간을 줄여주는 것이다. 아무리 문화시설을 짓고 공원을 조성한다고 해도 사람들이 길에서 보내는 시간이 너무 길면 소용이 별로 없다. 문제는 지금 서울을 비롯한 우리 도시들의 기본적인 구조와 건물의 유형으로는 도저히 그런 삶을 살고 싶어도 살 수가 없다는 것이다. 너무나 많은 사람이 집에 들어오면 잠만 자고 다시 서둘러 나가야 하는 삶을 살고 있다. 한국 남자들의 돌연사 비율이 높은 이유도 알고 보면 생명의 가장 기본적 요소인 잠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유난히 연장근무도 많고 술자리 등 사교활동이 많은 나라이기는 하지만, 그런 것들은 사회적으로나 문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라도 있다. 그러나 이 출퇴근에 걸리는 시간만큼은, 또 그것으로 인해 빼앗기는 부족한 잠은, 도저히 개인이 어찌할 수 없다. _ 51쪽

  저자가 말하는 무지개떡 건축이란 복합적인 기능이 한 건물에 수직적으로 밀집해있는 건물을 말한다. 저자는 5층 건물 100평 정도의 규모를 이상적으로 본다. 예컨대 1층에 상업시설, 2~3층에 업무시설, 4~5층에 주거시설이 결합한 건물이다. 출퇴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교통체증과 자원낭비를 줄이고 삶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늘일 수 있는 건물형태다. 물론, 땅이 있어야 하고 복잡한 규제를 뚫어야겠지만 책을 읽다보면 나중에 저런 건물 하나 지어서 살고 싶다는 욕망이 샘솟는다. 더불어, 다공성(多孔性)을 중요한 특징으로 이야기하는데 이 부분은 건축학도가 아니어서 정확히 어떤 효과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사진으로 보면 멋있기도 하고 보안, 통풍에 유리할 것 같다. 


  이 책에는 재미있는 정보도 많다. 가장 흥미로운 주장은 도시생활이 전원생활보다 친환경적이라는 것이다. 일반적인 통념에 반하는 것인데, ‘에드워드 글레이저’라는 경제학자가 자신의 책에서 주장한 사실이다. 저자의 설명을 듣다보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또한, 고층빌딩이 즐비한 서울의 평균층수가 2.5층밖에 안 된다는 것도 재미있다. 도시의 영역이 무한대로 수평적 확장을 거듭할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더욱이 우리나라 같이 국토가 좁은 나라에서는 더욱 그렇다. 그렇다면, ‘무지개떡 건축’처럼 건물을 기능적, 구조적으로 밀도를 높인다면 해결책의 하나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저자가 설계한 ‘캐슬 오브 스카이워커스’나 ‘과천 무지개떡 건물’의 사진을 보니 더욱 더 그런 생각이 든다. 


도시는 다층일 수 있지만 자연은 정의상 단층이다! 이렇게 자연은 오직 한 층밖에는 있을 수 없으니 그 자연을 보호하려면 결국 도시가 변할 수밖에 없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도시를 더는 수평적으로 확대하지 않으면서 그 안에서 필요한 건물을 짓고 인구를 수용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하드웨어의 평균적 밀도를 조금 더 높이고 그것에 담기는 기능들을 좀 더 다양하게 한다면 장기적으로 도시는 지금보다 훨씬 더 작고 조밀해질 것이다. 사람들의 이동거리는 짧아지며, 에너지 소비는 줄고 삶을 즐길 수 있는 시간은 늘어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도시가 고밀화될수록 도시의 평면적 규모는 작아지며 결국 역설적으로 그만큼을 자연으로 되돌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도시 내에서 토지밀착형의 저밀도 삶을 고집하려는 사람들은 적어도 ‘누군가가 누리는 저밀도의 여유는 또 다른 누군가의 장거리 출퇴근’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_ 251~252쪽


  아쉬운 점은 사진자료가 생각보다 부족하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이 책이 누구를 대상으로 한 것인가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분명 동종업계인을 대상으로 한 것은 아닐 테고, 건축에 대해 잘 모르지만 도시환경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했을 텐데 용어나 개념 설명이 다소 부족하다. 어려운 내용은 크게 없었지만 아무래도 낯선 개념들로 인해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것 같다는 느낌이 드는 부분이 있었다. 각주를 통해서라도 간단히 설명을 덧붙여주었으면 더 좋은 책이 되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