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젊은 예술가의 초상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5
제임스 조이스 지음, 이상옥 옮김 / 민음사 / 2001년 3월
평점 :
참 어렵다. 힘겹게 책장을 덮으며 그런 생각을 했다. 주인공 스티븐의 성장을 나의 성장과 동일시하며 지켜보다가도, 깊고 파악하기 힘든 스티븐의 의식세계를 만날때면 나는 힘없이 쓰러졌다. 비유나 어휘도 그 뜻을 온전히 파악하는데 힘이 들었다.
현실과 예술가 사이에는 큰 장벽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사회와 사람들, 현실에 완벽하게 동화되고 조화를 이루면서 예술가로서의 명성과 업적을 이룬 사람이 존재하는 것 같지 않다. 예술이란, 자신만의 세계가 있고 쉽게 사람들과 동화되지 못하며 사회와 현실적인 조건들과는 삐걱대며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들이 하는 것이 아닌지. 이 소설은 자신과 주위에서 자기를 묶으려고 하는 그물들 - 가정 친구 국가 종교 - 을 모두 벗어버리고 예술가의 길을 선택한 스티븐의 이야기다.
스티븐은 법학을 공부해서 무너진 집안을 일으키길 바라는 아버지의 기대나 충실한 가톨릭 신자가 되길 바라는 어머니의 기대를 거부하면서 가정에서 벗어난다. 외로이 지내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으면서 친구와 사회에서도 벗어난다. 영국의 지배와 아일랜드 독립 사이에서 고민해야하는 숙명을 지고 태어난 아일랜드인으로서의 굴레도 과감히 벗어버린다. 그의 사유와 생활의 반경을 제약하는 종교는 그가 예술가가 되기 위해 벗어버려야 할 가장 큰 굴레이다. 스티븐은 이 모든 제약에서 탈출해 예술가가 되기 위한 길을 떠난다.
이 소설이 나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나는 아직도 성장 중이기에 스티븐의 사유는 나의 고민들과 유사한 바가 꽤 있었다. 그래서 마지막까지 스티븐이 어떤 선택을 할 지, 그 것이 마치 나의 모범 답안인 양 기다리고 있었는지 모른다. 하지만 '영혼의 자유와 힘을 밑천으로 하나의 살아있는 것, 아름답고 신비한 불멸의 새 비상체를 오만하게 창조해'내는 일은 내가 가기에는 어려운 길인 것 같다. 단지, 스티븐의 이 질문만이 내게 유효했다. 도대체 '내 삶의 목표는 무엇'이며 언제쯤 '연약함과 소심함과 무경험이 내 자신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될'지. 자기만의 길을 찾은 스티븐이 멋있고 대단해보였지만 반면에 나에게도 그에 못지 않은 과제를 던져준 소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