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철의 유럽인 이야기 1 - 중세에서 근대의 별을 본 사람들 주경철의 유럽인 이야기 1
주경철 지음 / 휴머니스트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우 재미있는 역사책이다. 저자 자신도 '최선을 다해 선정적으로' 쓰려고 했다고 말했듯이 쉽고 재미있게 읽힌다. 풍부한 사진자료와 왕가 계보도도 이해를 돕는다. 익숙한 소재들이지만 이야기를 잘 엮어서 한 번 손에 쥐면 놓을 수 없도록 만든다. 재미 만을 강조해서 내용의 깊이를 잃은 것도 아니다. 


  예컨대, '코르테스'와 '루터'를 다룬 장을 읽다보면 종교의 유익함과 해악에 대해 다시 한 번 고민하게 만든다. 서구의 아메리카 식민지화가 재평가 받아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꽃전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읽다보면 원주민 제국이 무너진 내부요인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잘못된 믿음이 사람을 어디로 오도하는지도 생각해보게 되고, 그런 지배체제 하에서 피지배층이 겪었을 고통을 생각한다면 코르테스에게 길을 열어주었던 게 무리도 아닌 것 같다. 물론 바다를 건너온 그들도 자원을 수탈하고, 노예로 부리는 등 각종 만행을 일삼았지만 말이다.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 토속 신앙 뿐만 아니라 면죄부 또는 면벌부를 발행한 중세 가톨릭교도 문제가 많기는 마찬가지다. 그렇다고 해서 신교는 완벽한가? 종교 개혁가 루터도 그 삶의 궤적을 들여다보면 파란만장하다. 하지만 그가 개혁하려고 했던 '구교' 보다 '신교'가 더 개혁적이고 가치지향적인 것은 아니다. 오히려 폭력을 조장하기도 하고, 어린아이들을 더 억압적으로 사상을 개조하려 들기도 했다. 종교의 지배력이 절대적이었던 중세에는 '잔 다르크'처럼 믿음 앞에 자신을 내던지기도 하고, '콜럼버스'처럼 믿음을 현실로 실현하기 위해 애쓰기도 했다. 근대에는 종교의 영향력이 떨어졌다고 하지만 IS나 원리주의 기독교회를 보면 꼭 그런 것 같지도 않다. 저자의 마지막 말처럼 '신성성을 상실한 근본주의 도그마'는 피에 굶주린 야수처럼 세계를 불안에 떨게 한다. 역사에 대한 이해와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책은 이 외에도 얻을 것이 많은 책이다. 볼거리와 읽을 거리도 충분하다. 벌써부터 2권을 기다리게 된다.

잉글랜드가 그 찬란한 발전의 도상에 오르게 한 선구자가 폭군이자 편집증 환자이자 호색한인 헨리 8세다. 별로 기분 좋은 말은 아니겠지만, 역사의 발전은 반드시 선한 인물에 의해 이루어지는 건 아니다. (169쪽)

자기네들과 똑같은 말을 하지 않으면 그들에게는 언어가 없는 것이고, 기독교를 믿지 않으면 종교가 없는 것과 같다. 말을 빨리 따라하는 것으로 보아 우리 말을 금방 배울 것이니 곧 좋은 하인이 될 것이다. 그래서 돌아갈 때 본보기로 여섯 명을 붙잡아서 군주께 보여드리면 좋아하실 것이다. 약 1만 5,000년 정도 서로 격리되어 살아온 사람들이 마침내 만난 첫날, 유럽인들은 곧장 이곳을 지배해 주민들을 노예로 삼으리라 결정한 것이다. (198쪽)

루터 역시 마찬가지다. 자신의 종교적 신념에 지나치게 집착하면 극단적인 공격성을 띠게 된다. 그는 독설로 남을 공격하고 자신을 옹호했는데, 때로 그 말과 글은 포악하기 그지없었다. 누군가가 그에게 천지창조 이전에 하느님은 무엇을 하셨느냐고 묻자 "당신처럼 건방지고 촐랑거리고 꼬치꼬치 캐묻기 좋아하는 영혼을 가두기 위해 지옥을 만들고 계셨을 거요"하고 답했다(이전에 아우구스티누스가 농담처럼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32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