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한 유명 일간지에서 '공지영 신드롬'이라는 머리글을 단 기사를 1면에 실렸고, 스타급 배우가 출연한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라는 영화의 원작자가 알고보니 공지영이었다. 매스컴이 베스트셀러를 만들고 유행을 창조한다지만 공지영은 '공지영의 수도원 기행'등을 통해서 호감을 가지고 있었던 작가라 무척이나 반가웠다. 출간되자마자 베스트셀러에 진입했다는 이 소설도 그런 이유에서 접하게 된 것이었다.

 이 소설은 사형이라는 묵직한 주제와 사랑이라는 소소한 이야기의 결합이다. 주인공인 문유정과 정윤수는 각각 다른 종류의 학대를 받고 성장해버린 불우한 성인들이다. 문유정은 지극히 정상적이며 행복해보이는 가정에서 살고 있으며 교수라는 사회적 지위도 가지고 있지만 보이는 것만이 다는 아니다. 어렸을 때 친척 오빠에게 성추행을 당했지만 딸의 안위보다 명예와 이익을 생각해 쉬쉬하는 어머니와 가족 속에서 성장하면서 정상적인 삶을 지속할 수 없을 정도의 상처를 입는다. 그 결과 삐뚤어진 성격과 냉소, 그리고 상습적인 자살시도로 삶의 무게에 지쳐버린 인물이다. 반면에, 정윤수는 불우한 환경 속에서 자랐고, 성장하면서 신체적인 학대를 받으면서 사랑에 굶주리며 살아간다. 사회와 가족으로부터 다른 종류의 학대를 받은 이 두 사람에게 공통적인 것이 있다면, '사랑받고 싶어하고 인정받고 싶어하며 다정한 사람과 사랑을 나누고 싶어'하는 본능이다. 인간으로서 공통적으로 가진 이런 감정을 통해 그들은 서로 다른 곳에 서있는 자기자신을 발견하고 사랑의 감정을 느낀다. 하지만 이 감정은 사형이라는 장애물 탓에 지속할 수 없다.

 문유정에게는 아무런 관심의 영역이 아니었을 사형은 이래서 그에게 중요한 영역이 된다. 사형은 왜 필요한가? 천인공노할 끔찍한 잘못을 범한 이들에게 내리는 마땅한 처벌이 아닌가? 하지만 누구든지 잘못을 범할 수 있고 재판을 통해서 사실을 추리할 수는 있어도 진실을 알 수 없지 않은가? 어떻게 그 개연성만 믿고 실수할 가능성이 큰 인간이 한 인간의 전부인 생명을 놓고 함부로 판결할 수 있는가? 인간이 누구에게 그런 권한을 얻었는가? 하는 의문을 제기하게 되는 것이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사형제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다. 솔직히 말해 이 책을 통해서 사형제 옹호와 폐지 사이에서 긴가민가하던 생각이 폐지 쪽으로 더 기울어진 것도 사실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사형제라는 묵직한 담론을 이런 식으로 풀어놓는다는 것이 어쩌면 소설이 해야할 역할을 다한 것이며 소설가가 사회적 문제에 대해 말하는 방식이구나 싶었다. 하지만 이 소설이 애초에 마음먹었던 문유정과 정윤수의 상처 메우기가 뭍히고 결국 사형에 대해서 말하려 했구나라는 생각이 들때는 허탈함을 지울 수 없었다. 또한, 정윤수의 상처를 보여주는 블루노트의 내용이 너무 뻔한 내용이고, 너무 쉽게 드러나는 감정과 눈물 때문에 윤수의 삶을 있는 그대로 보는게 힘이 들었다. 재미있게 읽긴 했지만 전체적으로 무엇인가 부족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