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의 주례사 -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남녀 마음 이야기
법륜스님 지음, 김점선 그림 / 휴(休)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새신랑과 새신부의 앞날에 대한 무한한 축복. 그리고 ‘에~또’, ‘마지막으로’라는 접두사와 함께 지루하게 이어지는 경계의 말씀들. ‘주례사’라는 단어를 떠올릴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광경이다. 언제부턴가 주례사는 귀담아들어야할 결혼선배의 조언이 아니라 그저 피로연장으로 갈 시간을 지연시키는 원흉이 되어버렸다. 이렇게 된 것은 주례사에 담긴 전통적인 결혼관에 대한 반발의 표현일수도 있지만, 뻔하디 뻔하게 형식화되어버린 주례사 탓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스님의 주례사는 특별하다. 대뜸 행복은 결혼 자체와는 상관없다는 말로 행복한 결혼을 꿈꾸는 이들의 환상을 깨뜨려버리더니 작금의 결혼은 일종의 거래와 비슷하게 되어버렸다며, 현 세태를 비판한다. 그리고 결혼은 흥정이 아니기 때문에 득을 보자고 하면 반드시 실패할 것이고, 내가 밑져야겠다고 생각하면 행복할 것이라며 선답(禪答)을 제시한다.

 

  사실 ‘공짜 점심은 없다’는 말이 있듯이 무엇을 선택하든 대가가 있기 마련인데,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하던 이익만 취하려고 하고 그에 따르는 비용은 치르지 않으려고 한다. 하지만 그것은 욕심이고 늘 실패하고 만다. 스님은 진정한 사랑으로 결실을 맺는 결혼이 되려면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그 사람 편에서 이해하고 마음을 써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결혼은 ‘두 사람이 모여 새로운 세계를 만드는’ 신성한 것이지만 그에 대해 환상을 가지지 말 것을 주장한다. 예컨대, 결혼을 앞두고 두 가지는 반드시 각오해야 한다는 것이다. 첫째는 상대방에게 대가를 요구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내가 사랑하고 내가 좋아할 뿐이지 상대방에게 그 사랑의 대가를 요구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둘째는 서로 안 맞는다는 것을 전제하고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혼은 두 사람이 하나가 되는 것이라는 환상을 가지고 무조건 서로 같아야 한다는 강박을 가지면, 오히려 행복한 결혼생활을 이루기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젊은 사람들의 화젯거리야 늘 연애 아니면 결혼이라, 스님의 조언을 행복한 결혼 생활의 지침으로 읽자 생각하다가도, ‘결혼 안 해본 스님이 결혼에 대해 무얼 알기에!’ 라는 괘씸한 반발심이 생긴다. 하지만, 우리는 누구나 태어나자마자 삶과 결혼한다. 말하자면, 내 의지와 상관없이 태어나 ‘아무개’로서의 인생과 한 배를 타게 되는 것은 ‘삶과의 결혼’이 아닌가 말이다. 따라서 스님의 주례사는 좁은 의미의 결혼이 아니라 넓은 의미의 결혼에 대한 주례사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스님의 주례사는 삶에 대한 지침으로도 읽힐 수 있다. 스님은 매일 수행 정진해야 한다고 말한다. 수행이라고 하면 머리 깎고 절에 들어가 세상과 격리된 채 참선을 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어떤 진리를 마음속에 새긴 채 늘 ‘지금, 여기’의 자신을 살피고 되돌아보면서 점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른바 ‘깨어 있는 연습’이다. 스님은 더 나아가 오히려 산 속에서 고고히 수행 정진하는 스님들보다 세상 속에서 갖은 유혹과 싸우며 의미 있게 살려고 노력하는 속인들의 수행의 경지가 더 높을 수 있다고 격려한다.

 

  이 책은 아마도 법륜 스님의 설법을 모아놓은 것 같다. 대중법회의 주 대상이 아무래도 중년의 여성이다 보니 설법의 예화가 그네들의 주 관심사인 가정문제나 남편의 외도 등이 많다. 하지만 극단적인 예를 설정하다보니 - 스님의 취지는 아니겠지만 - 뭇 독자의 분노를 자아내기도 한다. 예컨대 남편이 바람피워도, ‘아, 지금까지 나와 살아줘서 고맙다’라고 생각하라는 것이나, 술 먹고 집기를 부수어도 ‘저것이 저 사람의 카르마인 것을’ 이라고 생각하며 오히려 술상을 봐주면서 이야기를 차분히 들어주려고 노력하라는 것은 사실 여성의 입장에서 가혹한 것이다. 부처님 말씀대로 “행복은 내가 만드는 것이고, 불행도 내가 만드는 것이라” 상대방이 어떻게 하든 내 마음을 바로 잡으려는 노력이 중요하기는 하다. 하지만 스님에게 조언을 구하러 온 여성들은 아마도 위로를 듣고자 했을텐데, 이런 식의 조언은 아무래도 너무 가혹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공감을 해주면서 수행의 방향을 잡아주면 듣기에도 수월할텐데, 감히 범접하기 힘든 수행의 방향만 일러주며 어서 가라고 하는 것은 너무 엄하게 느껴졌다.

 

  이처럼 화법에 대한 불만이 있기는 했지만, 대부분의 스님 말씀은 귀를 쫑긋 세우고 들을 수밖에 없는 것들이었다. 그 중에서도 나에게 가장 감명 깊었던 스님의 말씀은 “안 되는 게 되는 거다.” 라는 말씀이다. 자전거를 배울 때 처음에야 못 타는 게 당연하고, 엎어지는 것이야 말로 잘타고 있는 것이라는 말씀은 그야말로 발상의 전환이었다. 늘 실패를 두려워하며, 처음의 낯섬과 서툼이 무서워 무엇을 시작하기 주저하는 마음에 힘이 될 만한 말씀이었다. 반드시 서툼의 과정을 거쳐야 높은 경지에 이른다는 것. 실수와 실패가 있어도 계속 노력해야 비로소 진정한 수행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것. 종교를 벗어나 삶의 지침으로 삼고 싶은 말씀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