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창의력은 먼 곳에서 나오지 않는다. 일상 속에 행복이 있다. 지은이의 말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이 정도가 될 듯하다. 그렇게 가까이 있는 것을 왜 우리는 보지 못하는 걸까? 우리는 행복을 찾으러 산티아고에 가고, 창의력을 키우려 학원에 다닌다. 존재하는데도 모르는 것이고, 모르기 때문에 고생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늘 있지만 우리 눈에는 안 보이는 것을 어떻게 하면 볼 수 있을까? 지은이는 좋은 책 읽기를 해답으로 제시한다. 책이 꽁꽁 얼어버린 바다처럼 매너리즘에 빠진 삶을 깨는 ‘도끼’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읽는 책이 우리 머리를 주먹으로 한 대 쳐서 우리를 잠에서 깨우지 않는다면, 도대체 왜 우리가 그 책을 읽는 거지? 책이란 무릇, 우리 안에 있는 꽁꽁 얼어버린 바다를 깨뜨려버리는 도끼가 아니면 안 되는 거야. - 1904년 1월, 카프카, 「저자의 말」, 『변신』중에서– 6쪽


  유명한 광고제작자의 입에서 나온 책들은 의외로 고전, 소설들이 많다. 경영서적만 읽는 줄 알았는데 아닌가 보다. 인문학을 전공했다는 내가 오히려 부끄러울 정도로 아직 읽지 않은 책이 많았다. 이 책은 문학을 통해 세상을 좀 더 깊게 볼 수 있다는 새삼스러운 진리를 일깨워준다. 좋은 책을 많이 읽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 겉은 화려하지 않아도 속이 꽉찬 사람, 세상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이 되고 싶다. 끝으로, 지은이가 책을 끝맺는 데 인용한 시구를 다시 인용한다. 깊은 여운을 남기는 구절이다.


봄이 어디 있는지 짚신이 닳도록 돌아다녔건만

정작 봄은 우리집 매화나무 가지에 걸려 있었네.– 3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