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얼간이 - 3 Idiot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엎치락덮치락 이야기가 격동하고 반전을 거듭하면서 미친 듯이 이야기가 내달린다면? 동시에 주인공들이 결혼식장에서 도망치고, 미워하다가 사랑하고, 죽었다가 깨어나고, 싸우다가 화해하고, 포악했다가 인자해지는 변신을 거듭한다면? 그리고 이 모든 일들이 50부작 대하드라마가 아닌 ‘딸랑’ 120분짜리 드라마에서 펼쳐진다면 어떨까? 여기까지만 듣고 그 드라마를 평가해보라고 한다면 백이면 백 모두 ‘막장 드라마’라고 말할 것이다. 앞서 말한 사례들은 모두 ‘세 얼간이’의 이야기다. 이 영화는 이렇듯 ‘막장’의 요소를 골고루 갖추고 있다. 하지만 내가 극장에서 목격한 관객들은 모두 한 발짝 뒤로 물러서 비판하기보다는 그저 영화와 함께 뒹굴며 웃는데 더 열중하는 것처럼 보였다. 낯설고 거칠며 산만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우스꽝스럽기까지 한 이 영화가 왜 이런 설명하기 힘든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일단 이 영화는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이야기라는 점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겠다. 영화는 인도의 한 공과대학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배우들이 우리말만 잘 구사할 수 있다면, 카이스트 혹은 한국의 대학으로 배경을 바꾼다고 하더라도 전혀 무리가 없어 보인다. 학점과 취업의 노예가 되어 진짜 ‘공부’에 대해서는 소홀히 하는 대학생들, 그리고 학생이 아니라 ‘기계’가 되도록 강요하는 사회구조와 교육시스템. 이것은 비단 인도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지금도 목도하고 있는 우리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최근까지 사회이슈화 되었던 카이스트 학생들의 자살과 카이스트 총장님의 경쟁지향의 학사운영방식은 이 영화에 등장하는 사례들과 묘하게 겹쳐지면서 이 이야기가 남의 뒷담화가 아닌 우리들의 이야기임을 깨닫게 한다. 이야기의 거칠고 성김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몰입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또한 동시에 이 영화는 우리에게 매우 낯선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배경은 우리나라에서 도저히 찾을 수 없는 자연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할리우드와 우리나라 주류의 영화에서는 맛볼 수 없는 독특한 서사방식을 취한다. 이야기의 중간 중간에 삽입되는 노래와 춤과 우스꽝스러운 행동들은 심각한 주제에 힘을 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저 낯섬과 독특함을 즐기면서 웃다가 보면 금새 영화 안으로 빠져들고 만다. 막대한 자본이 투입된 블록버스터의 화려함이나 대스타의 연기에서 풍기는 아우라는 없지만 소극장의 연극에서 느낄 수 있는 소박하고 뜨거운 열정과 활기를 찾을 수 있는 것이 이 영화의 또 다른 매력이다. 이야기의 뻔한 전개와 너무 급격한 흐름에 날선 비판의 칼끝을 세우다가도 낄낄거리고 훌쩍거리다보면 영화의 엔딩크레딧이 올라갈즈음에는 흐뭇한 미소를 짓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 영화의 클라이맥스는 대학총장 비루(보만 이라니)가 란초(아미르 칸)에게 펜을 건네주는 장면일 것이다. 경쟁과 효율 위주의 현재의 교육시스템을 옹호하는 비루가 비판적인 란초를 인정하는 동시에 란초에게 ‘너만이 옳은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토로하는 장면은 인간과 인간, 제도와 제도 간의 화해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만 같다. 두 방식 모두 각각의 유용함이 있다. 공부의 지난함과 암기의 늪을 건넌 후에야 학문의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반대로 학문이 즐겁지 않다면 공부의 지난함과 암기의 늪을 건널 인내와 힘을 얻을 수 없다. 암기냐 창의냐, 경쟁이냐 방임이냐. 전혀 다른 이야기는 아니라고 본다. 독초가 약이 되기도 하고 홍삼이 독이 되기도 한다. 적당한 것을 적절한 시기에 쓰는 것이 명의다. 우리 교육에는 이런 대화와 소통이 불가능한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