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 VS 사람 - 정혜신의 심리평전 2
정혜신 지음 / 개마고원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나는 인간을 다룬 글을 좋아한다. 평전, 자서전, 인터뷰는 물론이고 정혜신이나 강준만의 인물비평도 좋다. 특히 정혜신이 쓰는 ‘심리평전’은 독특한 재미가 있다. 역사가가 쓰는 평전은 학문적 엄밀성을 담보할 수 없는 인간의 심리보다는 눈에 보이는 사실을 중시하게 된다. 어떤 행동을 했는가, 어떤 배경이나 상황에서 그러한 선택을 했는가가 초점이 된다. 하지만 심리학자 정혜신은 그러한 제약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그 인간의 심리와 무의식을 꿰뚫어보고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나는 그래서 정혜신의 글을 좋아한다.
 |
|
|
|
나는 모든 사람이 대단하다고 느끼며, 동시에 대단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외적으로 이룬 성취나 사회적 위치를 감안하면 ‘대단하다’는 소리가 절로 터져 나오지만, 휘장을 걷고 한 발짝만 안으로 다가서면 대단한 사람이란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걸 반복적으로 체험했기 때문이다. - 7쪽 |
|
|
|
 |
저자는 모든 사람은 대단하지만 동시에 대단하지 않다고 말한다. 아마도 인간이라는 존재자체로 대단하지만, 또 인간이기에 그 내면을 들여다보면 거기서 거기라는 말인 것 같다. 정혜신은 정몽준이나 이명박, 박근혜를 다루는 글에서는 그 금언의 가치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대단해보이지만 결국은 대단하지 않은, 한 인간임을 적나라하게 드러내주는 것이다. 하지만 정혜신은 이창동과 박찬욱, 문성근을 다룰 때는 지극히 얌전해진다. 이름만 들어도 대단해보이는 사람들이 정말로 대단한 사람들이라는 사실밖에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라이벌매치라 보러 갔는데 볼넷만 뿌려대고 제대로 된 승부는 나오지 않으니 답답한 것이다. 이럴 바에는 ‘vs’라는 대결방식을 버리고, 개개인에 더 집중하는 것이 옳았다. ‘개별화’, 그것이 정혜신이 인간을 바라보는 원래의 시선이 아니었던가?
 |
|
|
|
나는 ‘개별화할 수 있는 능력’이 진보의 끝이라고 생각하는 쪽이다. 사람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문제에서는 특히나 그렇다. - 8쪽
|
|
|
|
 |
글을 읽다보면 인간이란 자기의 마음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존재가 아닌가 싶다. 결국 대통령이든 ‘일개’ 시민이든 자기 마음을 들여다보는 노력이 중요한 것이다. 자신의 내면을 잘 들여다보고 무엇을 원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과연 상식적으로 옳은 것인지 치열하게 성찰할 때 그 개인으로서나 그 사회로서나 발전할 수 있다. 그럼, 내면에 눈을 돌리지 않고, 자기의 무의식적인 욕망이 덕지덕지 묻은 결정을 해놓고서는 ‘우국의 결단’이라고 칭하는 사람은 어떤가? 답이 없다. 정신과 전문의 정혜신의 상담소를 찾는 수밖에.
 |
|
|
|
고뇌하고 회의하는 ‘자기성찰’이 동반된 행동은 그 무엇보다 강력한 법이다. - 204쪽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