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되어 주실래요? - 감동 휴먼 다큐 '울지마 톤즈' 주인공 이태석 신부의 아프리카 이야기, 증보판
이태석 지음 / 생활성서사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뭐 볼 만한 영화 없을까 인터넷을 뒤적이다가 ‘울지 마, 톤즈’라는 영화를 알게 되었다. 그리고 평점이 굉장히 높았기 때문에 별 고민 없이 영화를 보았다. 영화는 너무 감동적이었다. 나는 영화를 보는 내내 울먹였고, 새삼 ‘이태석’이라는 이름을 계속 떠올렸다. 2010년 1월 14일. 분명 내가 보는 신문 부고 면에 짤막한 기사라도 실렸었을 텐데, 나는 영화를 볼 때까지도 이태석이라는 사람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다. ‘사람이 사람에게 꽃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신부님을 모르고 있었다니 때늦은 아쉬움이 들었다. 정말 후회가 막심했다. 이 책을 읽게 된 것은 그 미안함에 대한 속죄의 표시이고, 영화에 대한 나만의 되새김질이었다.

영화를 보면서 또는 책에 담긴 사진들을 보면서 가졌던 생각은 신부님의 미소가 정말 아름답다는 것이었다. 정말 지상에서 본 최고의 미소가 아닐까 싶었다. 더욱 신기한 것은 말기 암 판정을 받은 후에도 얼굴에서 미소가 전혀 사라지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아니, 오히려 그 슬픈 운명에 대비되어 그 깊이가 더해졌다. 모르긴 몰라도 이 신부님의 미소는 연습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분 생애의 고고함에서 자연스럽게 풍겨 나오는 향기 같은 것은 아닐까. 이 책도 펜이 아닌 그 분의 미소로 쓴 것 같았다. 생에 대한 긍정과 깨달음이 산을 이루고, 사람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사랑이 강을 이뤄 완만하게 흘러가는 느낌이었다.

누군가 나에게 이 책의 내용을 한 마디로 압축해달라고 말한다면 나는 이렇게 말하겠다. ‘나와 너의 삶이 별개의 것이 아니라 하나의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라’고. 이태석 신부님에게 톤즈 사람들은 남이 아니었다. 오히려 한 몸과 같았기 때문에 그들의 아픔을 나 몰라라 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 신부님에게 있어 톤즈에서의 삶은 ‘희생’이 아니라 ‘필연’이었다. 마치 감기에 걸렸을 때 내 몸을 쉬게 하고 배가 고플 때 내 배를 채우듯 너무나 당연한 행동이었던 것이다.

   
  내 삶이 독립된 나 혼자의 삶이 아니라 이곳 사람들의 삶의 일부이기도 하며 이곳 사람들의 삶도 내 삶의 일부라는 것을, 그리고 시공을 초월한 각기 다른 삶들의 조화로운 섞임이 십자가 위에서 바라보고 계시는 예수님의 마지막 유언이었다는 것을 아프리카의 한 작은 마을에서 ‘천사의 양식’이라는 성가를 들으며 깨달을 거라고 누가 생각이나 했겠는가. (본문 40-41쪽)

 
   

 나 같은 평범한 사람은 이 신부님의 삶을 흉내 내기도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이 정도는 할 수 있지 않을까? 신부님은 아프리카 오지에 사는 이방인의 삶도 자기의 삶으로 받아들였는데, 나는 우리나라에 소외받고 어려운 이들의 삶을 내 삶과 연결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 말이다. 아니다. 이 것도 말처럼 쉽지는 않은 것 같다. 정책의 우선순위에서는 항상 배제되고, 국익이라는 거대한 이름 앞에서 한 없이 쪼그라드는 그 소외받은 사람들의 삶을 생각하고 그 아픔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다 같이 잘 살자!’는 다짐은 어떨까. 그리고 ‘다 같이’의 영역이 내 가족, 내 나라를 넘어 전 세계로 확장될 때, 세상은 이 신부님이 바랐던 그런 좋은 세상을 이룰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나는 무늬만 신자에 불과하지만 어쨌든 가톨릭에 적을 두고 있는 터라 불편함이 덜했지만,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보기에 영화는 몰라도 책은 종교적인 거리감이 없을 수 없다. 하지만 이 신부님에게 종교가 중요하지 않았듯, 한 사람의 열정적인 삶을 이해하는데 종교적 표현들이 문제가 되지는 않으리라 믿는다. 부디 많은 사람들이 이 신부님의 삶을 되짚었으면 좋겠다. 나처럼 너무 늦게 그분의 이름을 찾게 되지 않기를 바란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희망을 잃은 이들에게 희망을 주며 사랑을 잃은 이들에게 사랑을 주는 데에 그들이 가톨릭이나 개신교면 어떻고 이슬람교면 어떤가? (본문 194-195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yj7074 2011-01-23 16: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너무 잘쓰셔서 퍼가요. 꾸벅꾸벅..

송도둘리 2011-01-24 08:53   좋아요 0 | URL
과찬이십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