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와 한서 - 중국 정사正史의 라이벌
오키 야스시 지음, 김성배 옮김 / 천지인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수업 과제로 보고서를 준비하면서, <사기>와 <한서>에 모두 등장하는 인물들을 비교해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했다. 사마천과 반고의 관점을 교차해보면 재미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한서>번역본이 없었다. <한서>의 열전만 몇 편 추려서 번역이 되어 있는데 그것만으로는 불충분했다. 약간 실망하면서 좀 더 검색을 해보니 <사기>와 <한서>를 비교해놓은 책이 이미 출간되어 있었다. 바로 이 책이었다. 반가웠다. 

  읽어보니 논문 2편을 합쳐 놓은 것 같은 책이다. 앞부분은 <사기>와 <한서>의 특징 비교와 시대별 평가 추이를 정리해놓았고, 뒷부분은 <사기>와 <한서> 중에서 한 편을 꼽아 비교, 설명해준다.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기 보다는 일반학계의 기존 연구성과들을 잘 정리해놓은 것 같았다. 물론 <사기>와 <한서>에 관심이 많다면 그에 얽힌 이야기들과 상식들을 얻는 잔재미가 충분하다. 하지만 일반 독자의 관심을 당길 만한 포인트는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2편에는 <사기>와 <한서>에서 직접 한 편을 뽑아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은 중언부언과 같다. 왜냐하면 1편에서 이미 <사기>와 <한서>가 각각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설명한 바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비슷한 주제의 논문 2편을 읽는 느낌이라고 말했던 이유이다. 

   일본에서도 <사기>완역은 많지만 <한서>의 제대로 된 번역본은 없는 모양이다. 이것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인데 일본의 학풍에서 영향을 받은 것일까? 아니면 시대별로 <사기>나 <한서>에 대한 각각의 평가가 달라지듯이 현대는 <사기>의 시대인 것일까? 옮긴이의 말을 인용하자면, 중국문학 연구의 거장인 요시카와 고지로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중국의 고전산문을 연구하려면 <사기>와 <한서>, <후한서>, <삼국지> 즉, 전사사(前四史)는 읽어야 한다'고 말이다.  

  아마도 일제가 조선과 중국을 침략하기 위한 준비로 대대적인 투자와 지원을 했던 탓에 그렇겠지만, 중국사의 저명한 학자들 중에는 일본인들이 많다. 한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가 밟아온 자취를 들여다보는 것 이상의 방법이 없고, 한 나라를 알기 위해서 그 역사를 연구하는 것 이상의 방법은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문화의 각 영역에서 중국의 영향력은 과거나 지금이나 매우 크다. 그리고 앞으로도 점점 커질 것이다. 최근 외교부에서 '중국연구센터'를 발족한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이런 시점에 <한서>를 비롯한 전사사의 번역이 이뤄진다면 어떨까? 그렇게 된다면 중국사에 대한 관심을 대중적으로 고취시킬 수 있고, 그 기반 위에서 우리나라에도 저명한 중국사 연구자가 많이 나오게 되지 않을까. <한서>의 제대로 된 완역본이 없는 상황에서 <사기>와 <한서>의 차이점을 살펴보자는 것은 사실 좀 뜬구름 잡는 것 같은 느낌이라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