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풍경 - 김형경 심리 여행 에세이
김형경 지음 / 예담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이 책을 알지 못했다. 상담해주시는 선생님께서 읽어보라고 권해주셔서 우연히 읽게 되었을 뿐이다. 나는 마치 숙제를 하듯이 천천히 읽으면서 이 책에서 온전한 정답을 찾으려고 애썼다. 그 결과는 어땠냐면……솔직히 지금은 뭔가 알 듯하면서도 알 수 없는 뿌옇고 모호한 느낌이다. 하지만 그 동시에 나에게 매우 중요한 시점에 괜찮은 밑돌을 발견한 듯한 생각도 든다.

  이 책은 정신분석의 여러 개념들을 비교적 알기 쉽게 일러주고 있다. 저자 자신이 직접 체험한 정신분석과 그 과정에서 얻게 된 통찰을 ‘나눔’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먼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감정들과 그 감정들이 현실에서 표현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조금 진부한 표현이지만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이랄지, 생에서 가지고 있어야 할 긍정적인 가치랄지 하는 것들을 말해준다.

  이 책만이 가지고 있는 특이함은 이 모든 이야기들이 저자의 여행경험을 토대로 풀려나간다는 점이다. 정신분석의 개념들을 비교적 쉽게 마주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특성에서 비롯되는 것 같다. 나도 두어 차례 여행을 다녀봤지만 나에게 있어서 여행은 그저 발품팔고 사진 찍는 행위에 머물러 있을 뿐이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나서야 ‘아, 이런 여행이야말로 진정한 여행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마음이 들면서 ‘왜 나는 지금껏 그런 여행을 하지 못했지? 역시 난 그것밖에 안되는 놈이야.’ 라는 생각을 했다면 이 책을 읽는 것은 또 한번 나를 괴롭히는 계기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것이 지금까지 내가 가져왔던 일상적인 사고방식이었다. 하지만 이 번에 나는 ‘고작 그 따위’의 여행에서 얻었던 즐거움과 그 때 보았던 장면을 떠올리며 만족하였고, 저자의 여행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여행의 새로운 경지를 조망하였으며 그러는 한 편 저자의 이야기에 공감하였다.

  책을 다 읽고 난 지금 이 이야기가 생각난다. 컵에 반쯤 채워져 있는 물을 보고 두 사람이 각자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인데, 한 사람은 ‘물이 반밖에 없네.’ 라며 낙담하고, 다른 한 사람은 ‘물이 반이나 있구나!’ 라며 만족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난 늘 내 컵에는 물이 반밖에 없음에 실망하는 쪽이었다. 더 나아가 다른 사람의 컵 안에는 얼마만큼의 물이 채워져 있는지 알 수 없음에도 ‘다른 사람들 컵에는 물이 분명 많이 들었을 거야!’ 라고 생각하며 늘 그들을 부러워했다. 그렇기에 내 자신을 사랑하지 못했고, 나 자신을 사랑할 수 없기에 다른 사람 또한 사랑할 수 없었다. 나의 오랜 자학과 우울과 질투의 근원은 모두 하나였다. 저자의 말처럼 ‘지금 이곳’을 긍정하는 것부터가 모든 변화의 시작임을 이제야 안다.

   
    이제 나는 내가 선하기도 하고 악하기도 하며, 아름답기도 하고 추하기도 하며, 정의롭기도 하고 비겁하기도 하며, 이기적이기도 하고 이타적이기도 하며……, 그런 얼룩덜룩하고 울퉁불퉁한 존재로서 존엄하고 사랑받을 수 있는 존재임을 알게 되었다. (본문 241쪽에서)
 
   

 

  나는 지금 ‘더 이상 예전처럼 살 수는 없고, 그렇다고 어떻게 살아야 할지도 알 수 없는 상태(본문 353쪽에서)’에 있다. 하지만 지금 나의 삶은 여린 새싹을 틔우는 봄의 기운에 충만해있다. 이 책은 새롭게 돋아나는 이파리에 좋은 거름이 되었다. 이제,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날이 오면 그 열매는 매우 달콤할 것이다. 그리고 매서운 바람이 나뭇가지를 세차게 흔들어도 그것을 참고 견디면 다시 봄이 올 것임을 안다. 이 모든 것이 ‘지금 이곳’에 서 있는 나를 긍정하며 시작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