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보 마이 라이프
박영훈 감독, 백윤식 외 출연 / 플래니스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한 편의 잔잔한 드라마를 보는 듯했다. 이 시대의 평범한 '사오정(40 ~ 50대 정년)' 가장을 조명하는 영화라서 그런지 감정의 고저를 수시로 넘나드는 전율도, 선명한 선악대비도 없이 평화롭고 잔잔했다. 영화의 주된 이야기는 정년퇴임을 1달 앞둔 조민혁 부장(백윤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은 우리가 만들었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들어도 못들은 척, 봐도 못본 척 회사를 위해 헌신했지만 그에게 주어진 것은 10만원짜리  30년 근속 감사패와 막막한 미래 뿐이다. 한 때 세계 최고의 드러머를 꿈꿨지만 가족을 위해 꿈을 버리고 헌신했던 직장. 자신의 존재 근거와도 같았던 회사에서 떠밀려난 그는 너무나도 초라하다. 하지만 퇴직 후의 '제 2의 인생'을 앞두고 젊을 적의 꿈에 대해서 생각하던 그는, 주위 사람들의 도움으로 마침내 꿈을 되살릴 기회를 맞는다. 

  다소 밋밋한 사오정 가장들의 '작은' 반란에 힘을 실어주는 것은 배우들이다. 50대 정년퇴직자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바람머리와 말투의 소유자, 백윤식! 그는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초조하고 서글프지만 덤덤하고자 노력하는 가장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귀엽고 예쁜 딸같은 후배사원의 모습을 보여주는 이소연(김유리 역)도 매력적이다. 건들건들 박과장 박준규와 '왕년에 존 레논과 음악적 교류를 한' 경비원 최씨 임하룡도 약방의 감초처럼 극을 살린다. 중후한 말투와 화려한 섹소폰 연주로 중년 가장의 슬픈 로망을 보여준 임병기(김부장 역)도 보기 좋다. 그리고 또 낯익은 얼굴! 만년회장 연기를 보여주시는 김성원 님의 등장도 반갑다. 어떤 면에서 뻔한 이야기도 밉지 않았던 것은 이런 배우들의 매력 때문이 아니었나 싶다.
 
  결국 중요한 건 '사람'과 '꿈'이라는 생각이 든다. 인생을 살면서 사람과 꿈만 잃지 않으면 행복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회사도 사회도, 나라도 우리의 노력을 기억하지 못하고 언젠가 버릴지 모르지만 그 두 가지만 잃지 않는다면 희망이 있지 않을까. 조부장은 만년부장으로 회사의 전면에서 사라져가지만 부하 직원들의 마음을 얻었

기에 인생의 연장전의 판세를 바꿀 중대한 기회를 맞게 된다. 사람만큼 중요한 것은 꿈이다. 꿈을 잃고 부유하는 인생은 필연적으로 공허를 동반한다. '돈을 번다'는 것이 인생의 목적이 된다면 내가 돈 뽑아내는 자판기 속의 부품으로 전락한다면 정말 슬프지 않을까. 어두운 밤에도 북극성을 따라가면 방향을 찾을 수 있듯이, 살면서 약간 틀어진 길을 걷다가도 꿈을 북극성 삼아 걸어간다면 결국 행복에 이를 수 있지 않을까. 

  내가 반전과 충격에 너무 익숙해진 때문일까. 영화가 조금 더 발칙하고 오바했더라면 어땠을까 싶다. 하지만 자식들, 상사들, 사회의 고정관념과 편견‥수많은 벽들의 눈치를 봐야하는 아버지들이 밴드를 만들었다는 것 자체가 사실 큰 파격이리라. 흥행공식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영화이지만 젊은이들에게는 '사람'과 '꿈'의 중요성을, 아버지들에게는 공감과 눈물을 주는 가족들 모두 즐길만한 괜찮은 영화라고 생각한다. 이 영화와 함께 곧 개봉할 <즐거운 인생>과 비교해서 보는 것도 재미도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