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김슬옹 지음, 신준식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단 몇 초라도 산소가 없으면 생명의 위협을 느끼게 되지만, 새삼스럽게 산소의 소중함에 대해서 말하는 사람은 없다. 한글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의 일상 속에서 너무 자연스럽게 쓰이지만, 그 소중함에 대해서 아무도 깊게 생각하지 않는다. 너무 가까이에 있어서 오히려 진정한 가치를 알지 못하는 한글. 저자는 그 한글에 대한 깊은 애착을 가지고, '서울대 고전 200선'에도 들지 못한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해 자세히 풀어준다.

  한글이 과학적인 문자라는 것을 그동안 계속 들어왔지만, 이토록 정교할 줄은 몰랐었다. 동양적 사상의 기초인 음양 오행설에 딱딱 들어맞도록 한 것이나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초성과 종성을 같은 문자로 쓰게 한 것이나, 현대 음성과학에서도 엑스레이 등의 장비를 이용해야 알 수 있는 발음기관의 모습을 상형하여 글자를 만든 것등은 훈민정음이 얼마나 과학적인가를 설명해주는 대표적인 특징들이다. (지은이는 그래서 한글은 과학적인 문자가 아니라 과학 그 자체라고 감탄한다.) 한글의 문맹률이 0%에 가깝다는 것은 쉽게 이해하기 힘든 이런 언어학적인 우수성을 우리가 체감할 수 있는 지표이다.

  사실 책을 읽으면서 훈민정음의 창제에 있어서 세종대왕의 역할도 다시 평가하게 되었다. 사실 지금까지는, 세종대왕에 대해서도 용변을 보다가 문창살을 보고 힌트를 얻어 한글을 만들었다는 말이나, 집현전 학자들이 한글을 만들었다는 설에 그럴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왔었다. 하지만 세종임금에게만 유독 '대왕'이라는 호칭이 붙는 이유가 여기 있다는 것을 알게됐다. 언어학자, 음악학자, 과학자, 정치가. 각 분야에서 보여준 그의 능력은 정말 대단했다. 세종대왕 사후에 이만한 인물이 우리나라 역사에서 또 있었을까? 한 분야에 국한된 바보가 아니라 각 분야의 지식을 교환하며 통합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고, 시스템을 이용해서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줄 아는 통치술이 있었다. 깨어있고 열려있는 능력있는 정치인이 더욱더 그리워진다.

  한글은 더욱더 어려운 위험에 닿아있다. 세종 대왕의 창제 후에도 한자보다 격이 떨어지는 문자로 인식되어 많은 고초를 겪고, 일제시대에 '한글말살정책'때문에 큰 고비를 겪었지만 사실 지금과 같은 내부에서의 큰 도전은 없었다는 생각이 든다. 아무리 조선시대 지배층 일부가 한글을 거부했어도 그 효용성과 우수성만큼은 인정하고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어떤가. 자식이 태어나면 우리말보다 영어로 먼저 귀를 틔우려고 하고, 어린이 프로그램에서도 한글도 못 익힌 아이들에게 영어회화를 가르친다. 국제화와 세계화를 말하면서도 우리가 누구인지는 잊어버리고 있다.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은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생각할 줄 알았고, 그 결과물로 훈민정음 스물여덟자를 만들었지만 현대를 사는 우리들은 보편성만 목이 아프게 말하고 특수성에 대해서는 입을 닫는다.

  "모든 알파벳이 꿈꿀 수 있는 최고의 알파벳"이라는 한글. 무조건 한글이 우수하다는 배타적 민족주의와 세계화를 위한 영어공용어화를 말하는 망상 속에서 균형을 찾는 것. 한글을 쓰면서 세종대왕의 창제 정신을 기억하는 것. 그 진지한 작업이 작가의 자조섞인 말처럼 '서울대 고전 200선'에 끼지도 않은 '훈민정음 해례본'을 읽으면서 우리 모두에게 이루어졌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