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 하느님
조정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산다'는 것 자체로 우리 스스로는 누구와 비교할 수 없는 위대한 존재라고들 하지만 우리는 너무 초라한 존재다. 누구 못지 않게 열심히 산다고 하지만 늘 제자리에서 맴돌고, 가족들과 행복하게 살고 싶다는 작은 소망마저 이루기 쉽지 않다. 그리고 우리가 전혀 의도하지도 않았고 관심도 없는 역사의 흐름에 휘말려들기도 한다. 그 거대한 수레바퀴 속에서 마치 '캐리비안의 해적'의 주인공들처럼 몸에 균형을 잡고 칼싸움을 하기가 어디 쉬운가. 우리는 그 거대한 흐름 속에서 묻히고 튕겨져 나가기 쉽상이다. 이 이야기 또한 가족들과 행복하게 살고, 단지 이 순간만 배부르게 먹기만을 원했던 한 사람이 전쟁이라는 역사의 흐름에 끼어들게 돼 겪게 되는 안타까운 일들이다.
풀어질 듯 말듯 하면서 풀리지 않는 신길만과 그의 조선인 동료들을 보면서 세계대전 속에서 약소국민의 비애란 이런 것이구나 절절히 느껴졌다. 강대국의 장교들은 그들의 말을 유심히 들어주는 척 하지만 결국에는 어떻게 꼬드겨서 자기들의 이익을 위해 일하게 할까 하는 생각뿐이다. 신길만과 그의 동료들은 이 쪽에서 속고 저 쪽에서 속으면서 고향과 점점 멀어지면서도 그들의 '약속'에 의지하여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기대를 저버리지 못한다.
결국 이 이야기는 약소국민 조선인의 비애인 동시에 작고 작은 한 인간이 자신이 결정할 수 없는 역사 속에서 느끼는 비애와 좌절이기도 하다. 때문에 이 이야기는 전혀 다른 시대와 배경과 소재 속에서 지금까지도 일어나는 일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든다.
단숨에 읽을 만한 분량에 대화를 통한 빠른 전개 속에서 이 비참하고 안타까운 이야기는 쾌속선을 타듯 전개된다. 일본군에서 소련군으로, 소련군에서 독일군으로, 다시 미군으로 옮겨지는 과정이 작중인물들의 농담과 한탄, 걱정과 같은 대사를 중심으로 빠르게 옮겨지는 것이다. 자신들의 운명의 향방을 모르고서 마지막까지 헛되게 보이는 기대를 놓치 않으면서 '고향으로 돌아가면 면서기 시켜준다는 약속을 까먹지나 않았을지' 씩씩거리기도 하는 그 순진함이 이 냉혹한 비극과 맞물려 더 안타깝게 하고 있다. 하지만 소재의 충격에 비해서 소설의 분량이나 전개가 너무 가벼운 것이 작가의 대하소설적인 명성에 비해서 부족해 보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