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 MBC 느낌표 선정도서, 보급판 진경문고 5
정민 지음 / 보림 / 200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숨에 읽었다. 한시라는 고리타분할 것도 같은 주제를, 아버지가 자식들을 무릎에 앉혀놓고 이야기하듯이 쉽게 풀어놨다.

  한시를 읽은 것은 중고등학교 때 본 몇 편이 전부다. 이 책을 통해서 지금까지 읽은 한시의 몇 배는 접한 것 같다. 시집살이하면서 잠이 모자란 며느리의 한시나 김부식의 한시에 담긴 정지상과의 뒷이야기. 귀가 쫑긋하는 새롭고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았다. 그 중에서도 '한 글자의 스승' 부분이 참 재미있었는데 한 글자로 인해 시의 분위기가 이렇게 바뀔 수가 있나 깜짝 놀랐다. 한시를 읽을 줄 모르지만 저자가 번역해놓은 것만 읽어도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시에 그렇게 비평해주고, 그 것을 웃으면서 받아들이는 분위기도 참 살가웠다.

  영어를 모르면 문맹으로 취급받고 여기저기서 디지털이다 글로벌이다 말하는 지금, 한시와 같은 고전이 왜 필요한가 물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한시나 현대시나 담아내는 형식과 글자가 다를 뿐 담고 있는 사상이나 생각들은 지금과 별 차이가 없어 깜짝 놀랄 때가 많다. 우리가 고전을 읽는 이유도 우리와 아무 상관 없을 것 같은 과거의 선인들의 글에서 우리의 모습과 닮은 단편을 발견해내기 때문일 것이다. 그 쾌감과 안도 그리고 공감.

  한시에서 저자가 찾아낸 것은 바로 위에 말한 그 느낌들이 아닐까 싶다. 시대는 바뀌고 사람을 둘러싼 외형과 삶의 양식은 점점 바뀌어가지만 그 안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희노애락은 바뀐 것 같지 않다. 사람사는게 다 거기서 거기다라는 말이 그래서 나온걸까. 옛것을 이해하면서 현재를 살아가고 그 연속선상에서 미래를 읽는 것. 그것이 이 책에서 말한 '장님이 눈을 다시 감는 비유'의 본 뜻인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