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체스판 - 21세기 미국의 세계전략과 유라시아
Z.브레진스키 지음, 김명섭 옮김 / 삼인 / 200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냉전 이후의 전통적인 중국 봉쇄론를 다시 한번 말하고 있다. 러시아를 자극하지 않는 선에서 미국 주도의 나토가 유지되어야 하고, 터키는 중동권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민주적인 러시아가 나쁠 것은 없지만, 미국의 인권 외교가 러시아의 대 중국 밀착을 초래해선 안 된다. 동아시아에서의 반중 동맹은 유럽보다 강고하지만, 지역 협력의 가능성은 언제고 경계해야 한다. 그 원칙은 '미국 없는 유럽' 을 저지하는 것에서도 동일하다. 일본은 키우고 중국은 관리하라, 그리고 한국을 동맹에 남겨두는 것은 피차에 유익할 것이다. 너무 먼 아프리카와 너무 만만한 남미는 상세히 거론 안 한다. 어쨌든 유럽에선 나토의 동진과 남진이 중요하고 (시점이 90년대 후반이라 그래서 발칸이 거론된다), 아시아에선 기존 체제의 유지가 핵심이다. 일본의 안보 역할 증대는 필연적이고 미국의 국익에도 도움이 된다. 

이 책을 모 헌책 싸이트에서 2000원에 샀다. 비슷한 가격대로 건진 책들이 수학의 확실성, 부분과 전체, 가짜영어사전, 김준엽 장정 1,2 등이었으니.. 나름대로 거대한 수확이었다. 제일 마지막으로 선택했으나, 제일 먼저 읽은 김에 소감을 쓴다. 9.11과 아프간-이라크 전쟁 이전의 책이라, 많은 것들이 누락되거나 상황이 달라졌음을 감안해야 한다. 선제공격론의 본격적인 부상 이전에, 주류 담론 중에서도 온건한 편. i promise to do whatever it takes to help Taiwan defend itself, 최고 결정자권자가 이런 화법을 구사하는 시대엔 확실히 온건파에 속할 것이다. 온건파와 매파가 갈라지는 지점은 시간 계획에서이지, 전방위적인 중국 봉쇄라는 틀이 크게 바뀌는 건 아니겠지만. 수십년 동안 '현상유지' 라는 기조가 거의 변함없이 유지되어 오다가, 미국이 급격하게 최후 결전 비슷한 분위기로 가는 바람에 냉전 이후를 고민해 오지 않은 한국이 곤혹스럽긴 하다.

이어지는 생각. 일본의 개헌 문제는 진작에 정치적으로 반대 세력이 없다. 뛰어난 테크니션인 오자와*는 야스쿠니 위패 분사로 대외적 반발의 명분을 제거하고 아마 다음 정권 정도에서 여야 합의의 개헌을 추진할 듯 한데.. 일본은 결행의 준비가, 미국은 용인의 자세가 되어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입장이 상당히 난처하다. 개헌과 재무장에 대한 반발로 중국 쪽으로 기우는 것이야말로 일본 신우익의 의도라면.. 한국에게 현실적인 선택은 일단 부시-고이즈미 체제를 넘길 수 있는 시간을 버는 것이다. 그리고 일본의 중국-아시아 중시론이 좀 더 힘을 받길 기대해보는 것. (전면대립의 피해를 가장 심하게 덮어쓸) 선택을 강요 받는 중국 포위 구도 대신에 중-일 협력 체제가 그나마 바람직한 미래상이라면, 칼자루는 일본이 나름 쥐고 있는 셈이다. 일본은 100여년전 안중근의 경고를 기억해야 한다. 일본이 원했던 지역 패권의 대표성은 명치유신 이후의 결정적 시기마다 서구 열강에 의해 거부당했고, 끝내는 원폭을 얻어맞는 패전으로 처참한 종말을 보고야 말았다. 미국의 하위 파트너로서 지역 내 헤게모니를 보장 받으려는 시도는 중국을 다시 반식민의 허수아비로 되돌려 놓을 수도 없는 지금엔 무모한 일이다. 브레진스키의 체스판이 동아시아에게 던지는 교훈이란 결국, 1800년대 이후로 지금껏 만들어보지 못한 동아시아의 체스판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 아닌가.

* 오자와 이치로는 이미 10년도 전에 자민당은 보통국가를 실현할 의지와 능력이 없다며 자민당을 뛰쳐나와 전후 50년 체제를 깨뜨려 버린 장본인이다. 몇 번의 이합집산을 거치며 반개헌의 보루였던 사회당은 공중분해 되어 버렸고, 여야 모두가 개헌을 지지하는 보-보 체제가 들어섰다. '우리끼리 사이좋게 영원히' 라는 식으로, 남한 정치인들에게 내각제에 대한 강렬한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띠보 2009-03-16 1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 리뷰타고 왔어요~
지정학적 사고가 듬뿍 담긴 글이네요
중간 문단에 쓰인 동아시아 정세는 날카롭군요

최근에 나온 <미국의 마지막 기회>도 추천드립니다.
2007년에 쓴 글이고 한국에는 올 2월에 번역되었습니다.
9.11 테러와 이후의 부시정책기조와 변화한 상황에 대처할
자신의 정책방향을 담고 있습니다.
80살이 넘었는데도 여전히 통찰력을 유지하고 있구요..

추천하고 갈게요~


중퇴전문 2009-04-04 15:39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제가 매일 출첵을 하지않다보니, 답글이 늦었습니다. 말씀하신 브레진스키 책은 한번 읽어보겠습니다. 들러주셔서 감사하구요, 또 뵙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