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product/5106/46/cover150/8968800162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1433/41/cover150/k812636098_1.jpg)
2024년 독서 테마는 '마이너리티: 소수자'다. 여성·청소년·아동·장애인·노인·성소수자·산업재해 노동자 들을 다룬 책들을 집중적으로 읽어보려고 한다. 그외의 다른 분야 책들도 섞어서 읽겠지만, 주된 독서 분야는 이렇게 될 것 같다. 위에 첨부한 책에서『십 대 밑바닥 노동』은 예전에 알게된 책인데, 단지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제대로 된 노동자 대우를 받지 못하는 청소년들의 노동 실태를 다뤘다. 오래 전에 알라딘 보관함에 담아뒀는데, 이걸 도서관에서 빌려서 읽었는지 아닌지 기억이 안 난다. 설령 읽었다고 해도 읽었는지 안 읽었는지 기억이 안 날 정도라면 다시 읽어서 나쁠 건 없겠지. 2015년에 나온 책이지만, 지금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 책이 나온 후에도 그리고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청소년 노동자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거나, 산업 현장에서 죽어가고 있다.
『장애학의 도전』과 『아파도 미안하지 않습니다』는 내가 요즘 읽고 있는 오마이뉴스 박정훈 기자의 저서 『이만하면 괜찮은 남자는 없다』에서 알게 된 책이다. 『장애학의 도전』은 장애인 인권과 관련해서 읽어볼 만한 책일듯하다. 『아파도 미안하지 않습니다』는 오늘 박정훈 기자의 위 저서에서 접한 질병권이라는 개념을 이해하고 평생 지병과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는 분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것 같아서 내년에 읽을 예정이다.
비슷한 맥락에서 나는 질병인들을 '회복해야 할' '관리가 덜 된' 존재로 보는 것도 반대한다. 《아파도 미안하지 않습니다》의 저자 조한진희 활동가가 제시한 질병권의 개념은 간단히 말하자면 아파도 괜찮을 권리다. 건강이 전부라는 말이 통용되고 실제로 건강을 잃으면 다 잃은 것처럼 여겨지는 사회에서 조한 활동가는 "회복되지 않는 아픈 몸으로도 어떻게 온전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인가라는 고민"에서 질병권을 말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도서관에 있는 책들은 빌려서도 읽겠지만, 서가에도 몇 권 구비해둘 생각이다. 내년 독서 테마는 사실 엄청나게 광범위하고, 어느 것 하나 만만한 게 없지만, 내가 해당 분야들의 전문가가 될 건 아니니까 일단 얕게라도 두루두루 읽어보려 한다. 적어도 아직은 내 삶에서 직접 대면해본 적이 없는 주제들이다. 책을 몇 십 권을 읽든 내 삶에 직결되지 않은 이야기들에 대해 공감력과 이해력을 키우는 데엔 한계가 다분하겠지만, 그래도 공부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읽으려 한다. 내가 공부가 직업인 사람은 아니지만, 아예 모르는 것보다는 그래도 뭐든 보고, 읽고, 들으면서 공부라도 해야겠다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