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이 요리한 음식의 역사
도현신 지음 / 시대의창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전쟁에 관한 책은 많다. 음식에 관한 책도 많다. 전쟁과 음식의 결합. 훌륭한 틈새시장이다. 전쟁와 관련된 34개가지 음식에 관한 내용을 엮은 책이다. 그간 전쟁과 관련된 여러 권의 책을 쓴 저자인지라 음식 이야기가 전쟁 이야기 속에 자연스럽게 버무러져 읽기 편하게 서술되어 있다. 해당 분야에 호기심을 갖고 입문하려는 독자에게 권할 만하다. 

 

 

그런데, 전쟁과 음식에 관한 입문서가 되기에 부족한 부분이 다소 있다. 오해를 살만한 내용도 있고 심지어 사실관계가 틀린 부분도 있기 때문이다. 

 

  

35 대항해 시대가 도래하는 17세기 이전까지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강력했던 무력 집단은 유목민들이었다.” - 대항해시대는 15세기 말에 시작되었기 때문에 틀린 내용이다. 

 

 

75 “(남북조시대를 설명하며:필자) 남쪽은..... 한족들이 동진과 송··양나라를 세우며 자리를 보존했다.” - 남조 국가들 중 이 빠졌다. 

 

 

89 앵글로 색슨족도 모두 스칸디나비아에서 발흥했다” - 필자가 알기로는 앵글족과 색슨족 모두 오늘날 독일 지역에서 발흥한 것으로 알고 있다. 앵글족은 독일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에 있는 앙겔른 지역 출신이며, 색슨족은 다른 말로 작센족이며 독일의 엘베강과 ·베젤강 유역에서 북서 독일 지역에 걸쳐 살았다고 알고 있다. 

 

 

203 대부분 한국인은 몸 안에 젖당이 없어 사실 치즈도 먹기 어려운 식품이다.” - 젖당은 락토스(lactose)라 하고, 이름 그대로 포유류의 젖에 들어있는 당이다. 젖당, 즉 락토스를 소화시키는 소화 효소를 락타아제(lactase)라고 하는데 이 효소가 없거나 부족할 경우 우유 등의 유제품을 잘 소화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한국인들이 우유를 잘 소화시키지 못하는 이유는 젖당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락타아제 부족 때문이다. 그런데 어찌 보면 대부분의 한국인의 몸 안에 젖당이 없는게 맞기는 하다. 수유기의 여성을 제외한다면 말이다. 

 

 

347 “..... 일본은 결국 원자폭탄 두 발에 2백만 명이 넘는 전사자를 내면서 몰락했다.” -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에 희생된 사람의 수는 히로시만 14만 명, 나가사키 7만명 정도로 알려져 있다. 200만 명이 넘는 전사자는 태평양 전쟁 전체 전사자로 보인다. 그런데 문맥상 원자탄 희생자 수로 읽히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367 “(소련은) 1991년 연방이 해체되면서 15개의 작은 나라로 분열되었다.” - 다른 나라들은 몰라도 러시아나 우크라이나를 작은 나라라고 하는건 문제가 있지 않을까? 물론 기존의 소련에 비하면 작겠지만 말이다. 

 

 

380 “(러시아) 국민들이 보드카를 너무 마셔 알코올 중독자들이 늘어나고 그 바람에 평균 수명이 58세에 머무는 등 보드카가 사회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고 했는데, 어떤 자료를 찾아봐도 러시아인의 평균수명이 58세라고 나오는 자료는 없었다. 저자가 58세라고 했던 이유는 다음의 자료를 보면 알 수 있다. 저자는 '러시아인의 평균 수명'이 아니라 '러시아 남성의 평균 수명'이 58세라고 했어야 했다. 그래도 문제가 있는 것이 러시아 남성 평균 수명이 58세(혹은 59세)였던 것은 2006년 자료다. 이 책이 출간된 해가 2011년이니까 58세 보다는 2013년 통계인 64세에 가깝다고 봐야 할 것이다. 

 

 

러시아 남성의 평균수명은 63.8세였던 1960년보다 크게 떨어진 59세다. 여성의 평균수명도 72.4세에서 72세로 떨어졌다.” (‘러시아, 해마다 인구 80만명씩 줄어들어 내일신문, 2006-09-08)

“WTO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 러시아인의 평균 수명은 70세로 조사대상 193개국 가운데 하위권인 124위에 머물렀다. 남성 평균 수명만 따지면 64세로 캄보디아·가나와 함께 공동 148위로 더 밀려났다. 반면 여성 평균 수명만 따질 경우 76세로 남성과 무려 12세 차이가 났다.” (‘러시아 男女 평균 수명 무려 12년 차이그 이유가?’ 머니투데이, 2014.02.01.)

 

 

혹시 개정판이 나온다면 이상의 내용이 수정되기를 바라고, 저자의 오류가 아니라 필자의 오류가 있다면 이 글을 보는 누구든 알려주시면 감사하겠다. 


출처 : BookC의 冊戀愛談 (http://blog.naver.com/grun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