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 연구가면서 칼럼니스트인 서민 교수의 글을 몇 번 접했는데 `이 짧은 글이 어떻게 재미있을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다 기사를 통해 `서민적 글쓰기`(생각정원 펴냄)를 알게 되고, 평소 부족한 집중력을 부여잡고 이틀에 걸쳐 읽어봤습니다. 곳곳에 흥미를 유발하는 부분이 숨겨져 있더군요.

나는 글을 잘 쓰지 못했다. 글쓰기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지만 서른이 넘어서야 비로소 실천으로 옮긴 지각생이다. (중략) 가랑비에 옷 젖듯이, 글쓰기는 아주 조금씩 좋아졌다. 더불어 어린 시절 그늘진 생각들은 글쓰기의 좋은 소재로 바뀌어갔다. 글쓰기가 삶을 바꿀 수도 있다.
27쪽 `나는 쓰면서 생각했다`에서

저자는 10년의 지옥 훈련을 거치면서 글쓰기 실력을 인정받았다고 이 책에 썼는데 얼마나 노력하고 도전했기에 지금의 경지까지 오른 걸까요?

얼굴도 몸도 안 된다고 스스로 밝힌 저자는 글쓰기로 스스로 단련한 내용을 이 책 곳곳에 담았습니다. 경험을 통해 글 실력을 키웠다는데 `글쓰기 지옥훈련의 방법`이란 글에 나온 단락별 제목을 옮겨볼까요?

1. 노트와 연필을 끼고 살다.
2. 블로그라서 외롭지 않다.
3. 신문을 통해 세상을 보다.
4. 일기와 감상문은 글을 잘 쓰는 지름길이다.

그 다음 장인 `블로그에서 갈고 닦다.`에서 본격적인 비법을 전합니다.

우선 하루에 두 편 이상 글을 썼던 게 비결이었다. 워낙 그런 훈련을 많이 한 덕분에 이제 두 편 정도의 글감을 찾는 건 일도 아니었다.
(중략)
두 번째 이유로 쉬운 글쓰기를 들 수 있다. 책을 많이 읽은 분들은 당연히 나보다 글을 잘 썼다.
(중략)
하지만 누가 뭐래도 성공비결의 핵심은 유머였다. 책벌레를 만나본 적이 있는가. 그분들의 글은 논리정연하고 날카롭긴 해도, 유머가 부족하다. 반면 글에 유머를 넣는 훈련을 줄기차게 해온 나는 어느 정도 유머러스한 글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게 됐다.
135~136쪽에서

이 책은 PART 1 `나는 쓰면서 성장한다`와 PART 2 `어떻게 쓸 것인가`로 나뉩니다. PART 1이 저자의 경험 속에 글쓰기 비법을 담았다면, PART 2는 전문적인 단계로 나간답니다. 글쓰기를 더 잘 써보고 싶은 분들께 딱이죠?

쉽게, 재미있게 나가는 서민 교수의 이 책도 집중하며 읽으면 더 재미있고 알차게 배울 수 있답니다. 도서관에 빌려 읽었는데, 소장해서 더 읽을 생각에 직접 샀습니다.

어떠신가요? 읽을 마음이 생기시나요? 서민 교수가 쓴 `서민적 글쓰기`, 서민뿐 아니라 많은 계층에서 사랑받았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