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일기
다니엘 페나크 지음, 조현실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배설, 성장통, (), 질병, 노화, 죽음

가식도 금기도 없는 한 남자의 내밀한 기록

소설처럼』『학교의 슬픔의 작가

다니엘 페나크가 차린 의 성찬!

- 앞 표지(띠지) 홍보문구

 

몸의 일기(다니엘 페나크 지음, 조현실 옮김, 문학과 지성사 펴냄)을 사서 읽어보기로 결심한 건 지금 찾을 수 없지만 어느 신문의 책 소개 글을 접하면서입니다. 책 속 구절을 인용하며 남자의 몸을 매력있게 다뤘다고 소개했던 기억이 나네요.

 

홍보 문구에도 알 수 있듯 성, 사랑, 질병, 죽음 등 한 남자의 생애를 일기라는 형식(당연히 1인칭 시점이죠?)으로 잘 표현했습니다.

 

131개월 419361114일 토요일

아빠가 이런 말을 했었다. 모든 사물은 무엇보다도 먼저 관심의 대상이다. 따라서 내 몸도 관심의 대상이다. 난 내 몸의 일기를 쓸 것이다.

 

131개월 819361118일 수요일

내 몸의 일기를 쓰려는 또 다른 이유는, 모두들 다른 얘기만 하고 있기 때문이다. 몸이란 몸은 전부 다 거울 달린 옷장 속에 버려져 있나 보다. (후략)

(33~34)

 

주인공 ''(저자의 친구 리종의 아버지)는 어렸을 적 전쟁으로 군인이었던 아버지를 잃고, 보이스카우트 캠프에서 두려움에 창피를 겪은 뒤 '아무도 두려워하지 않겠다'며 자신의 몸을 관찰하는 일기를 쓰기로 했습니다. 때론 '라루스 사전'에 있는 인체 해부도와 벌거벗은 자신의 몸을 비교하며 얼마나 자랐는지, 얼마나 아버지의 몸을 닮으려 했는지 알 수 있죠.

 

어렸을 적부터 젊은 시절의 이야기는 꽤 발랄하고 야한 구석이 있습니다. 주인공을 돌봐주던 비올레트 아줌마, '도도'라는 주인공의 상상 속 동생, 주인공의 친구 티조, 팡슈 등과 함께 한 모습들을 보면 더더욱 그렇죠.

 

135개월 61937316일 화요일

아빠가 미리 얘기해줬었다! 하지만 아는 것과 실제로 일이 닥치는 건 전혀 다른 문제다! 난 잠에서 깨자마자 침대에서 뛰어내렸다. 잠옷 바지가 젖어 있었고 두 손도 온통 끈적끈적했다! 이불에도 묻어 있었다. 사실상 온 사방에 묻어 있었다는 게 정확한 말일 것이다. 가슴이 쿵쾅쿵퇑 뛰었다. 바지를 벗으면서 난 아빠가 얘기해줬던 걸 떠올렸다. 그걸 사정이라고 해. 밤사이에 그 일이 일어나더라도 겁먹지 마라. 다시 오줌을 싸기 시작한 건 아니니까. 그건 새로운 미래가 시작된다는 신호야. 놀라지 말고 얼른 적응하는 편이 나아. 넌 앞으로 평생 정자를 만들어낼 테니까. (후략)

(53)

 

2319461010일 목요일

(전략)

한밤중에 잠에서 깨어났다. 누군가가 내 이불 속으로 들어왔던 것이다. 그 몸뚱아리도 나처럼 발가벗은 채였는데 따스했다. 포동포동한 데다 더할 나위 없이 여성적인 몸. 그녀의 말은 세 마디가 다였다. , 움직이지마, 내가 알아서 할게. 그러고는 날 삼켜버렸다.

(중략)

모든 게 끝났을 때, 그녀는 내 귀까지 미끄러져 올라오더니 속삭였다. 팡슈가 네 생일이라고 해서. 나 정도면 괜찮은 선물이 아닌가 싶더라고.

(146~147)

 

모나와 결혼하고, 아들(브뤼노)과 딸(리종), 손자(구레구아르)와 손녀(파니와 마르그리트)를 얻은 주인공 ''는 서서히 늙음을 겪는데요. 자연스레 일기도 진지한 분위기로 접어듭니다. 젊은 시절의 발랄함과 180도 다르지요.

 

535개월 21977312일 토요일

오늘 아침 샤워를 하면서 내 목욕의 변천사를 한 차례 정리해봤다. 여덟아홉 살까지는 비올레트 아줌마가 날 '씻겨주었다.' 열살에서 열세 살까지는 씻는 시늉만 했고, 열다섯 살에서 열여덟 살까지는 욕실에서 몇 시간씩 보냈다. 오늘 난 일터로 달려가기 전에 샤워를 한다. 은퇴하고 나면 늘어져 있게 되진 않을까? 아니, 습관이 무섭다고, 나 혼자 힘으로 서 있을 수 있는 한은 샤워가 잠을 깨워줄 것이다. 그러다 때가 되면 병원에서, 면회가 금지된 시간에 간병인이 날 씻겨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엔 누군가가 내 시신을 닦아주겠지.

(300~301)

 

869개월 162010726일 월요일

우리 몸은 끝까지 어린아이다. 어찌할 바를 모르는 아이.

(471)

 

앞에 말씀드렸듯이 이 책을 밤에만 읽었습니다. 자주 빼먹긴 했지만 오랜 기간을 읽었습니다. 이 책이 가진 야함, 발랄함, 진지함을 모두 느끼고 싶었기 때문이죠. 처음 읽을 땐 쑥스러움과 호기심이 가득했습니다. 같은 남자가 남자의 몸을 읽는다는 게 아무렇지 않더라도 세밀하게 훑어보기 쉽지 않았으니까요. 성장하는 몸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다 늙어감과 죽음을 서서히 느끼니 책을 읽는 저 스스로의 마음이 차분해지더군요. 야함 혹은 발랄함과 진지함을 동시에 쓰기 힘든 데 한 남자의 인생을 다루니 알 것 같았습니다. 하나만 썼으면 이런 작품은 나오지 않을 테니까요.

 

홀로 두고두고 읽어도 좋고,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끼리 마음을 나누며 읽을 만한 '몸의 일기', 전 별 5개를 과감히 주고 싶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lou:Do 2015-11-13 1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기는 꾸준함이 관건인거 같은데 몸의 일기는 번뜩이는 상상력과 독특한 주제 설정으로 재미와 생각거리를 제공해주는 즐거운 책이지 않을까 싶네요. 충실한 요약과 서평 감사합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