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의 최소원칙
도정일 외 지음 / 룩스문디(Lux Mundi)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쓰기의 최소원칙』(룩스문디 펴냄)은 글쓰기와 관련이 깊은 다양한 사람의 조언이 들어간 책입니다. 글쓰기를 잘하고 싶은데 뭐가 뭔지 모르겠다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고 할 수 있죠.
 
표지에 나오지만 여러 사람이 한 파트씩 글을 써주셨네요. 대부분 인터뷰 형식이고요.
 
여기에 글을 쓰신 분들의 직업은 다양합니다. 시인, 소설가, 평론가, 학자, 변호사, 사회 활동가 등이네요. 다양한 목소리를 통해 글쓰기를 이야기한다는 특이한 발상이 담겨 있네요.

저는 읽으면서 다양한 사람이 말해주는 팁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지겨운 부분도 있었지만 뭐랄까요? 소소한 이야기랄까요? 괜찮은 책이었습니다.
 
글쓰기의 방향이 뭔지 모르겠다고 하시는 사람에게 권하고 싶은 『글쓰기의 최소원칙』이었습니다.

글쓰기가 중요한 것은 정보화사회의 구성원이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이 글쓰기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이와 함께, 역설적이게도 정보화사회에 대응하며 자립하기 위해 인간이 갖추어야 할 능력이 글쓰기이기 때문이다. 글쓰기만큼 인간과 인간적 가치를 중시하는 인문정신을 훌륭하게 발현하는 방법은 달리 없는 까닭이다.
- p9 ‘머리말’에서

김수이 그럼 책읽기의 문제부터 말씀을 청해 듣겠습니다.
 
도정일 어떤 책을 읽힐 것인가? 중요한 질문이죠? 독서 교육과 연결된 문제인데, 고등학교 독서 교육의 두 가지 맹점을 짚고 싶습니다. 하나는, 독서 교육 따로 있고 과목 교육 따로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큰 맹점입니다. (중략) 그것은 모든 과목 선생님들이 같이 해야 할 일이지요. 집에 가서 여유 시간에 책을 읽는 것도 독서 교육이 아닙니다. 모든 과목은 그 과목에 필요한 책들을 담당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제시해주어야 합니다. (중략) 그러면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것과 자기가 읽는 것을 별개로 놓지 않고 서로 긴밀하게 연결하게 됩니다. 이게 독서 교육의 요체입니다.
두 번째 맹점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종류의 책들을 읽혀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점입닏. 고3쯤 되면 소설 못 읽습니다. 시간 없다는 거죠. 시 읽을 틈도 없습니다. (중략) 아이들의 머리를 키워주자는 교육의 원래 목적에 비춰보았을 때 가장 바보 같은 짓이 소설, 시, 희곡, 전기 같은 글들을 읽지 못하게 하는 거죠.
(중략)
무엇보다 중요한 게 ‘언어의 마술’이라는 부분입니다. 글쓰기와 독서는 우리가 언어를 접하고 언어를 체험하는 일인데, 언어가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이고 자원이라는 사실을 요즘 사람들은 잊어먹고 있습니다.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가장 독특한 능력, 수단, 자원이 언어입니다. (후략)
- p33~34 문학평론가 김수이와 도정일의 인터뷰 ‘무엇을 쓸 것인가’에서
 
김동식 역사에 대해 기록을 남겨야겠다는 생각, 그리고 동시대 사람들과 폭도 넓고 밀도 깊게 소통하고 싶다는 욕망이 선생님 글에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많은 책을 쓰셨는데, 그 중에서 《야만시대의 기록》을 살펴봤습니다. 이 책에서 굉장히 다양한 자료들이 인용되어 있습니다. 정부 공식 문서부터 판결문, 피해자 가족의 인터뷰 등 다양한 자료를 담고 있는 책인데요. 글쓰기 자료 수집의 원칙이나 기준이 있으신지요?
 
박원순 예, 맞습니다. 자료 수집이 굉장히 중요해요. 저는 길에서 나눠주는 전단지도 함부로 버리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자료의 광맥이 따로 숨겨져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삶 속 어디서나 눈에 띄는 모든 것을 보는 시선에 따라 보물이 될 수 있습니다. (중략) 스크랩 작업을 하면, 당시 신문, 잡지에 어떤 기사가 어떤 크기로 어떤 문장으로 박혀 있었는지 머릿속에서 선명히 기억하게 됩니다. 가슴에도요. 그러면 글을 쓸 때 그 정보들이 그대로 녹아나오게 됩니다. 자료가 머릿속에 이미 다 정리돼 있기 때문에 글을 더 쉽게 쓸 수 있지요. 정보가 머릿속에 정리돼 있으면 글을 쓰는 것은 부수적인 과정이 됩니다.
- p76~77 문학평론가 김동식과 희망제작소 상임이사(현 서울시장) 박원순의 인터뷰 ‘글쓰기로 아름다운 사회를 디자인하다’에서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사람들은 먼저 말하기의 욕망과 글쓰기의 욕망이 같은 것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무언가 말하고 싶다는 것, 이것이 글쓰기, 특히 문학적 글쓰기의 출발점입니다.
(중략)
시나 소설, 기타 문학 작품을 쓰고 싶다면 자신이 말하고 싶은 것이 정확히 무엇인지 정리해야 합니다. 친한 사람에게 끊임없이 말해도 남아 있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마음속의 말들을 생각해보는 거죠.
- p160~161 문학평론가 김수이 ‘‘결핍’과 ‘잉여’에서 ‘사랑’과 ‘상상’으로’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