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모두가 생각하는 인터넷 기업들이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가를 비판하는 책이고, 동시에 사용자인 우리가 스스로가 필터 버블에 갖혀있다는 것을 알고 터뜨려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아주 예전에 <정보와 사회> 또는 그 비슷한 과목 강의 준비하면서 읽었던 책 중에 이 책과 비슷한 미래를 경고한 책이 있었는데 제목이 기억이 나지 않는다. 아마도 십년이 넘었을텐데, 그때 우려한 미래가 현실이 되고 있다. 그리고 아직 해결하려는 의지를 가진 사람도 그때와 비슷한 것일까?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인터넷 기업들이 하고 있는 행도을 충분히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기술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지만 중립적이지도 않다.'라는 말은 참 섬뜩하다. 어떻게 보면 <특이점이 온다>라는 책에서 주장하는 미래를 예측하는 사람들과는 반대 방향의 논지를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편리함에 대해 우리가 치르고 있는 대가를 알려주어야 하고 사용자인 우리도 꼭 알아야 한다는 것에도 동의한다.

325 쪽 <이제 횃불은 새로운 세대의 편집진에게 넘어갔다. 우리는 그들이 자긍심을 품고 횃불을 집어 들기를 원한다. 자신들이 만드는 세계에 공공 생활과 시민 의식을 심을 프로그래머들이 필요하다. 그리고 다른 방향으로 길을 바뀌게 하려는 자본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길을 지켜갈 사용자가 필요하다.>

333쪽 < 인터넷은 점점 더 우리 생활의 주요한 무대가 될 것이다. 그러나 소수의 회사들이 사람들이 일하고, 여가를 보내고, 세상과 소통하는 생활을 좌지우지할지도 모른다. '완전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통제는 사용자가 한다'는 인터넷 출범 초창기의 비전이 이제 우리 모두를 위해 시급한 과제임이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을 읽으면서 참 많은 일을 정리할 수 있었다. 125가지 단상 이라며 저자가 체계적으로 정리를 해서 한번에 못 읽어도 덜 부담이 되었다. 물론 내 책이어서 그렇기도 했겠지만. 
저자는 대중운동에서 잠재적  전향자가 될  부류의 특성을  가난한 사람, 부적응자, 이기적인 사람,  무한한 기회를  눈앞에 둔 야심가, 소수자, 권태에 빠진 사람, 죄인으로 나누어 설명 한다.  읽으면서 그럴  수  있겠구나 하는  부분이 많았다. 적어도 맹신자가 되기에는 갖춰야 할 특성이 많이 부족하더라.  대중운동이 시작될 때는 지식인이 필요하고 궤도에 올 릴 때는 광신자가 마무리는 현실에 발 디딘 행동가가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과 그림자의 책>
기억 왜곡, 트라우마, 제본사, 사서, 예수회 사제, 유태인, 나치 친위대, 전직 폴란드 암호해독 전문가 스파이 , 경호회사, 세익스피어 전문가, 갱단, 역도가 취미인 지적재산권 전문변호사, 투자컨설팅.
아침에 일찍 일어나야 한다는 부담없이 소설을 읽을 수 있어서 정말 좋았다. 게다가 사서가 하는 일과 역량을 제대로 보여주는 인물이 나와서 더 좋았지만 한가지 의문은 원서에도 전문사서라고 표기되어 있는지 궁금하다.
결국 완벽함을 지향하는 사람이 틀을 깨는 과정과 관용의 문제를 이야기한다고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떨어져서 볼 수 있는 줄 알았는데 머리로만 했다는 걸 깨달았다. 드디어 한 걸음을 걷기 시작했다. 그래서인지 몰 라도 자기를 들여다보는 일에 질색하는 지인들이 왜 그런지 궁금해졌다. 하지만 나도 왜 궁금해 하는지를 먼저 알아야겠지. 필경 내 호기심을 충족하려는 욕구가 클거다. 상대를 염려해서 보다는. 며칠 전 친구가 내게 한 충고를 듣고 처음에는 슬펐지만 조금 지나니 친구는 자기 생각을 이야기 했을 뿐이고 어떻게 받아들이냐 하는 일이 내 몫이더라. 받아들여야겠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받아들이고 나머지는 놓아버리기로 했다. 타인을 통제하려는 욕구와 나를 이해해주기를 바라는 욕구가 같은 뿌리에서 나왔다면 고치기가 좀 수월할까? 요즘 정서적으로 어리광을 부리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많이 든다. 어릴 때 하지 못해서 지금 하나? 모범생 증후군이로다! 모든 일은 남들이 대부분 하는 시절에 같이 해야 덜 힘들고 조금이라도 수월하게 보낼 수 있는 모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절대로 바꿀 수 없는 다섯 가지> 원서 부제가 '그리고 그것을 받아들이면 행복을 찾는다' 이네. 무엇이든 온전하게 받아들이는 일은 정말로 쉽지 않다. 그래도 노력해야 하는거란다. 삶의 목적이기도 하다는 말인데. 번역서 제목이 세네. 본문에 있는 표현이기는 하다. 저자가 말하는 다섯 가지 인생 조건이란 1. 모든 것은 끊임없이 변하고 때가 되면 끝난다. 2. 인생은 계획대로 되지 않는다. 3. 세상은 불공평하다. 4. 고통은 삶의 일부다. 5. 사람들은 항상 사랑스럽고 충실하지는 않다. 이 책은 개인이 해야 할 몫을 이야기한다. 절대 사회가 강요할 일은 아니다. 개인이 상황을 파악하고 결정할 일이지 당 당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었다면 <긍정의 배신>을 읽으면 좋을 듯하다. 나도 다시 읽어야겠다.
<영혼의 길고 암울한 티타임> 인생조건을 충실하게 보여주는 소설이었다. 대부분 소설이 그리하지만. 처음 읽었던 젠틀리 탐정이 나오는 소설보다는 몰입해서 읽었다. 상황이 여유로워서 그럴수도 있겠으나. 참 재미있는 발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