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살인자를 변호할 수 있을까? - a True Story 어떻게 살인자를 변호할 수 있을까? 1
페르디난 트 폰쉬라크 지음, 김희상 옮김 / 갤리온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디오피아 남자> 이야기는, 특별히 가슴 아팠고 눈물이 났다. 또한 그래서 결말이 너무 기뻤다. 비판하지 말라, 판단하지 말라. 과연 그렇다. 굳이, 내게 있는 것을 남에게서 보았을 때 비난하고 노여워한다는 프로이트의 말을 언급할 필요도 없으리라.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mallfuneral 2024-10-08 16: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건, 프로이트가 아니라 융입니다. 융의 그림자 개념이지요. ˝그림자는 흔히 외계(타인)에 투사되며 대개는 투사됨으로써 우리는 비로소 그림자의 존재를 알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심리학적 의미에서의 그림자란 바로 ‘나‘ 의 어두운 면, 즉 무의식적인 측면에 있는 나의 분신이다.˝

smallfuneral 2024-10-08 16: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역시 여기저기서 누선이 자극되었습니다. 저는 함석헌선생의 <죽을 때까지 이 걸음으로>의 한 장면이 떠올랐습니다. ˝무산자가 못 사는 것은 그 개인적인 책임 때문만이 아니다. 그 보다도 사회전체 기구에 있다. 그가 게을러 지는 원인까지도 그 사회제도가 져야 한다.˝ 다시 말해서 죄라는 것은 개인의 죄임이 분명하지만 동시에 구조적 모순으로 그 한 사람에게 전가된 우리 모두의 것이라는 게 옹의 말씀이시지요. 여기서 화들짝 놀랄만큼 적확한 해석이 이어지는 데, 그것은 바로 그 죄인이 당하는 벌, 그것은 바로 우리 모두의 죄를 떠맡은 ˝대속의 성격˝이라는 것. 그래서 옹께서는 감옥이야말로 세상 짐을 다 맡아 진 세계라고 보신 것이지요.

smallfuneral 2024-10-08 16: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범죄자들이, 아니 법제도의 판결에 의해 유죄가 확정된 자들의 형벌이 실은 우리 모두의 형벌을 대신하는 대형대벌임을 깨닫는 사회가 옹께서는 제대로 된 사회라고 보셨는데, 이 뜨거운 말씀을, 이 책을 읽는 내내 실감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