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아이테토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16
플라톤 지음, 정준영 옮김 / 이제이북스 / 201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1. 전승의 역사

 인간을 역사적인 존재라고 말할 때, 인간을 그렇게 만드는 데에는 상상과 그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언어 그리고 그것을 쌓아올리는 기억이 필요하다. 이러한 체계는 참과 거짓을 구분할 수 없다. 그것은 그냥 공적으로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시간이 흘러 새로운 정보가 나타남에 따라 그 체계가 다른 체계로 대체될 수 있다. 예컨대, 새롭게 발견되는 사료는 역사의 정설을 바꿀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사료 발견 이후의 정설이 사료 이전의 정설보다 더 진보했다고 표현할 수 없다.


2. 인식론: 지식 체계를 점검하다

 역사는 기본적으로 현재로부터 과거를 요청하는 상상이다. 따라서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정 역사 기술을 절대적인 가치 기준으로 두지 않는다. 문제는 모든 지식 체계가 이런 특징을 가진다는 점이다. 이 문제는 특히 인간이 가진 가장 강력한 실증적 지식인 과학 지식 체계에서 대두된다. 물론 이런 실증적인 체계는 언제나 경험이라는 법정에서 재판에 처해질 것이다. (콰인)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이 지식체계를 현실에 적용하기 전에 스스로를 완전히 파괴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이 체계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싶어한다. 그러한 맥락에서 철학은 메타 학문으로써 더 명확한 지식 체계를 추구하고 이해하는 인식론이 된다.


3. JTB: 정당화된 참인 믿음

 테아이테토스에서는 지식 체계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설명을 동반한 참인 판단'이라고 말한다. 현재 이것은 게티어의 반례에도 불구하고 '정당화된 참인 믿음'으로 아직까지 나름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러한 이유로 플라톤의 이 저서는 악명높은 난해함에도 중요한 대화편 중 하나로 여겨진다.


4. 감성 독단의 시대에서

 많은 수의 포스트 모더니즘 철학자들은 철학을 개념의 창출이라 칭하고 통일된 개념 표기조차 꺼린다. 이들의 이런 주장은 2000년 이상 인간을 이성의 틀에 가두고 자행되어온 폭력을 지적했다는 점에서 유효하다. 그러나 그들이 무비판적인 상상만을 강조하고 기존에 수행해오던 철학의 가치를 부정한다면 인간을 감성의 틀에 가두는 꼴일 것이다. 현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철학의 태도는 상상과 반성을 적절하게 이끄는 것이지 어떤 이론의 틀을 만들고 거기에다 강제 집행하는 형국이 되어서는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