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격의 대학교 - 기업의 노예가 된 한국 대학의 자화상
오찬호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그들은 왜? 라는 질문에 답을 할 수 있을, 거의 유일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요일엔 돌아오렴 - 240일간의 세월호 유가족 육성기록
416 세월호 참사 기록위원회 작가기록단 엮음 / 창비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Remember0416. 아직도 물속에 있는 사람들을 잊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요일엔 돌아오렴 - 240일간의 세월호 유가족 육성기록
416 세월호 참사 기록위원회 작가기록단 엮음 / 창비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잊지 말아야 할, 아직도 현재진행중인 사건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중반에 이르기까지 별들과도 같았던 이들의 이름이군요. 새삼 저자와 동시대, 동세대인이라는 게 느껴집니다.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보여준 고종석도, 언론학자이면서 <한국 근/현대사 산책>으로 오래 기억될 강준만도, 가장 왼쪽에서 가장 아래쪽까지라는 정치적 지향에 걸맞는 고래의 발행인 김규항도, `똘레랑스`와 `88만원 세대`라는 개념을 잡아준 홍세화와 우석훈도, 불교와 사회주의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를 들여다본 박노자도 모두 서재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네요. 그렇지만 역시 인생에 큰 획을 그은 한 사람의 논객을 꼽으라면 진중권입니다. 중3인 제게 아버지가 권해주셨던 <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는 보여지는 세상 바깥에도 또 다른 세상이 있음을 알게 했지요. (이제 이 책의 20주년 기념판이 나왔다니 기분이 좀 묘합니다만.) 그 이후 우리 모두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조선일보 불매 운동의 기억은 제 `생각의 좌표`를 잡아주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1,2강 모두 신청합니다. 개인적으로 서현님의 책을 좋아해서 자꾸 손이 가게 되더라고요. 파주의 효형출판 사옥도 시간의 흐름이 묻어날 수 있는 깔끔한 공간이었고요. 15년 이상 책으로만 만나온 작가님의 강의를 꼭 듣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