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서부터 모든 걸 의심했다.
등교해 교실에 앉아서는 '우리집과 부모님과 동생이 지금 사라졌을 수도 있겠구나, 지금 볼 수가 없으니...' 생각을 하다 한 발짝 더 나아가 '내 눈앞에 있는 것들도 환영일 수 있다. 사실 없는데, 내 눈앞에서만 어른거리며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지도 모른다'는 결론까지 내곤 했다. 영화 매트릭스도 나오기 전, 열 다섯 남짓한 어린 나이에 혼자 이런 생각들을 해냈다는 게 아직도 대견하곤 하다. 그래서인지 대학시절, 데카르트를 아주 쉽게 이해했다.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다른 모든 것들은 환영이더라도, 우리집이 연기로 사라져버렸다 해도, 내 옆의 동료가 사실 내 눈에만 보이는 귀신이라 해도, 내가 입은 옷이 내 눈에만 녹색으로 보일 뿐 사실 투명한 그물과 같다고 해도, 이렇게 내 눈앞에 펼쳐지는 모든 것들이 거짓이라 해도, 단 하나, '나는 생각하고 있다'는 사실만큼은 변함이 없으니 생각하는 '나'는 있구나. 하는 결론. 보이지 않는 걸 의심하다 못해 보이는 것까지 의심하는 날 보고 '자기밖에 모르는 이기적인 것, 네 친구인 나도 연기처럼 사라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거냐'며 놀리던 절친 때문에 내가 이상한가보다 여기고 여러 해를 살아오다가 '네가 옳다'고 말해주는 데카르트를 만났으니 감격스러울 수밖에! (물론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뒷편에 펼쳐지는 '신'의 존재 증명은 전혀 이해할 수 없었다, 그저 딱 '코기토'까지ㅎㅎ)
'나는 있다'라는 기본적인 절대 진리(사유의 전제가 되기도 하는..)는 내 안 깊은 곳에 자리잡고 있었다. 절대 변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채운 선생님의 '재현이란 무엇인가' 강의를 들으며 지금까지 절대 진리로 생각해 왔던 '나는 존재한다'를 깨부수는 게 힘들었다. (책72p에도 나와있듯, '나'라는 보편적 실체를 천명하는 데카르트는 재현의 사유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만든다) 사실, 2강 수업이 끝나면 이 부분에 대해 질문할 생각이었다. '데카르트가 '나는 존재한다'고 결론낸 것 자체가 오류인가요, 아니면 '나는 존재한다'를 사유의 기초, 근본으로 삼은 후 그 위에 다른 생각을 집 짓듯 올린 게 잘못인가요'하는...(다들 아시겠지만 프로이트, 과학, 의학 논란이 뜨거워 질문할 기회를 잡지 못했다) 수업을 마칠 때 즈음에 스스로 답변할 수 있었는데, 아무래도 '나는 생각한다'는 성립한대도 '나는 존재한다'는 성립하지 않으며,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를 '절대 진리'로 삼을 수 없는 듯하다. '나'라는 주체가 존재한다고? 피가 흐르고, 혈압이 변하고, 끝없이 숨쉬며 조금씩 늙어가면서 '나'도 계속 변하고 있는데 대체 무얼 '나'라고 일컫는가? 무엇이 '나'인지도 모르면서 '나는 생각한다'는 명제가 '나는 존재한다'로 이어진다고 믿고 이를 기초 진리로 삼아 그 위로 다른 논리들을 펼쳤다니 우습다. 그러니 곧 '나는 생각한다'는 참일 수 있어도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는 참일 수 없다. 더 올바르게 고친다면 '나는 생각한다'라는 말 속의 '나'가 고정된 실체가 아니므로, 그저 '생각한다'만 참일 것이다.
이제 '나도 없다'. '나'도 없는 세상에서 '산다'. 그럼에도 허무주의에 빠지지 않고, 우울해하지 않으며 적극적으로 살아가기란 얼마나 어려운가. 그동안 써 오던 말을 버리고, 당연하게 여기던 개념을 버리고, 옳다고 생각했던 가치를 뒤집으면서 진리가 없는 이 세상을 견뎌내야 한다. '철학을 하면서도 우울해하지 않고, 허무해하지 않고 살아가기가 쉽지는 않다'는 채운 선생님의 말씀에 위안을 받으며, 우울하고 허무하고 쓸쓸하기 쉽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지금' '여기'를 성실히 견뎌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