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자의 기억법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죽음이 무덤덤해진 시대가 되어버렸다. 아니, 그 어느 시대나 그랬을련지도 모르겠다. 죽고 죽이는 전쟁이 그랬을 것이고, 쓰나미 같은 어찌할 수 없는 자연재해 앞에서도 그랬을 것이다. 인의적인 사고와 잔혹한 살인도 밥 먹듯이 일어나는지라 일상의 하나로 받아들이는 내 자신에 섬칫 놀라지만, 이내 담담해지고 만다. 인간의 DNA에 전해져 온 공격성과 잔혹성은 오늘날에도 그 날카로움을 도처에 남기고 있고, 어쩌면 나의 내면에서도 그 본능이 깨워졌다가 사그라지길 반복하는 것이 아닐까 자문하게 된다.

 

김영하! 내가 이 작가를 제대로 기억한 것은 한 일간신문에 연재되었던 <퀴즈쇼>를 통해서다. 그 전에 나온 <검은 꽃>과 몇 편의 글을 더 읽었지만, 문학가에 그다지 흥미가 있었던 것이 아니므로 작품은 기억할지언정 정작 작가는 잊어버리곤 했다. 그러다가 거의 매일 연재소설을 읽다보니 저절로 알게 된 이가 김영하 작가이다. 지금까지 이 작가에 대한 느낌은 참 감각적인 '젊은 글빨'을 보여준다는 거였다. 그런데 작년에 그 유명했다는 <살인자의 기억법>를 이제야 읽어보게 되었다.

 

살인자의 기억법! 몇 쪽 되지도 않는 이 작품이 참 먹먹하게 한다. 문장의 기교를 크게 부리지 않고도 끝까지 눈을 떼지 못하게 하였으니, 얼개를 짜는 작가적 능력이 대단하다고 할 수 밖에 없다. '무슨 이런 소설이 있어~'하고 평가하기엔 그 중의적인 의미와 섬세함이 낯설게 다가오고, '정말 대단한 작품이야'라고 하기엔 부담스런 서걱거림이 존재한다. 물론 그래서 한 번 더 생각하게 하고... 정제되지 않은 '날 것'이 아닌, 세련되었으나 익숙하지 않은 '날 것'이라고 평가하고 싶은 그런 작품이다.

 

내가 마지막으로 사람을 죽인 것은 벌써 25년 전, 아니 26년 전인가, 하여튼 그쯤의 일이다. 그때까지 나를 추동한 힘은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살인의 충동, 변태성욕 따위가 아니었다. 아쉬움이었다. 더 완벽한 쾌감이 가능하리라는 희망. 희생자를 묻을 때마다 나는 되뇌곤 했다.
다음엔 더 잘할 수 있을 거야.
내가 살인을 멈춘 것은 바로 그 희망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7쪽)

 

책은 위와 같이 시작한다. 주인공은 일흔 살의 연쇄 살인범 '김병수'. 이미 수십 명의 사냥감을 '포착하고 그것을 끝내 살해'해 땅에 묻은 전직 수의사. 그의 첫 살인은 열여섯 살 때. 술만 마시면 엄마와 여동생을 패는 아버지를 베개로 눌러 죽인 후 30년 동안 꾸준히 사람을 죽인 사이코패스. 그에겐 과년한 딸(은희)이 있으나, 그 딸마저 그가 마지막으로 죽인 여인의 딸. 그런 그에게 찾아온 것은 알츠하이머(치매). 기억하지 못하는 일이 자꾸 일어나면서 그는 모든 일을 일기 형태로 기록하기 시작한다. 이것이 바로 이 책이다.

 

○시인은 숙련된 킬러처럼 언어를 포착하고 그것을 끝내 살해하는 존재입니다.(8쪽)
아버지가 나의 창세기다. 술만 마시면 엄마와 영숙이를 두들겨 패는 아버지를 내가 베개로 눌러 죽였다... (30쪽)
○나는 처음부터 내가 아버지를 죽인다는 것을, 죽이게 되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후에 잊은 적도 없다. 나머지 살인들은 첫 살인의 그림자를 의식했다. 그러나 인생의 종막에 나는 내가 저지른 모든 악행을 잊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나는 스스로를 용서할 필요도, 능력도 없는 자가 된다. 절름발이 오이디푸스는 늙어서 비로소 깨달은 인간, 성숙한 인간이 되지만 나는 어린아이가 된다. 아무도 책임을 물을 수 없는 유령으로 남으리라.(129쪽)

 

은희가 사귀는 사람이라고 한 사내를 데리고 오는데, 그 남자는 어디서 본 듯한 최근의 연쇄살인범이 분명하다. 꾼은 꾼을 알아보는 법. 주인공은 은희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죽음은 두렵지 않다. 망각도 막을 수 없다. 모든 것을 잊어버린 나는 지금의 내가 아닐 것이다. 지금의 나를 기억하지 못한다면 내세가 있다 한들 그게 어떻게 나일 수 있으랴. 그러므로 상관하지 않는다. 요즘 내가 마음에 두는 것은 딱 하나뿐이다. 은희가 살해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내 모든 기억이 사라지기 전에. 이 생의 업, 그리고 연.(28쪽)."... 그런데 쭈~욱 이런 내용으로 가면 어쩌면 평범한 소설에 머물고 말았으리라. 치매의 현상인가? 말미로 갈수록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거짓인지 흐릿해 진다. 

 

이즈음에서 나오는 반야심경. 파멸에서 망각으로, 망각에서 무지로, 순수한 무지의 상태로 이행하는 작가의 내적 암호가 머릿속을 스멀스멀 혼돈으로 이끌어 가는 즈음에 등장한다. 물론 힌트는 있다. "사람들은 모른다. 바로 지금 내가 처벌받고 있다는 것을. 신은 이미 나에게 어떤 벌을 내릴지 결정을 내렸다는 것을. 나는 망각 속으로 걸어 들어간다.(144쪽)". 이제 혼돈이다. 색즉시공이요 공즉시색? 결국 공(空)인가? "미지근한 물속을 둥둥 부유하고 있다. 고요하고 안온하다. 내가 누구인지, 여기가 어디인지, 공空속으로 미풍이 불어온다. 나는 거기에서 한없이 헤엄을 친다. 아무리 헤엄을 쳐도 이곳을 벗어날 수가 없다. 소리도 진동도 없는 이 세계가 점점 작아진다. 한없이 작아진다. 그리하여 하나의 점이 된다. 우주의 먼지가 된다. 아니, 그것조차 사라진다. (148쪽)"...

 

책은 이렇게 끝이 났다. 현실인지 꿈인지 인생이 화이트아웃되어버리는 결말... 마음이 한 생각 일으키면 일체 모든 것이 다 생겨나게 되고, 한 마음이 사라지면 일체 모든 것도 다 사라진다고 했던가. 작가의 의도가 무엇인지 몰라도 나는 여기서 화엄의 삼계유심(三界唯心)이 떠올려지더라. 결국은 무명(無明)을 없앨 때 일심으로 돌아갈 것이요, 그러함마저 없는 것이 인생이요 진리임을 얼핏 느끼게 되더라. 아~ 제행무상(諸行無常)이로다. 반야의 무(無)는 공(空)과 함께 참으로 여의하구나. 김영하 작가의 내면세계를 지레짐작하기엔 모르는게 더 많지만, 앞으로 더욱 깊어질 그 심연의 깨달음이 참으로 기대된다. 여운이 오래 가는 책읽기였다. 

 

○쓰인 모든 글들 가운데서 나는 피로 쓴 것만을 사랑한다. 피로 써라. 그러면 너는 피가 곧 정신이라는 것을 경험하게 되리라. 타인의 피를 이해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나는 책 읽는 게으름뱅이들을 증오한다. 니체 (31쪽)
○혼돈을 오랫동안 들여다보고 있으면 혼돈이 당신을 쳐다본다. 니체. (62쪽)

니체의 <선악의 저편: 도덕의 계보>에 나오는 "Und wenn du lange in einen Abgrund blickst, blickt der Abgrund auch in dich hinein."인데, 작가는 Abgrund를 혼돈으로 해석했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